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870.jpg
KCI등재 학술저널

탈문자 시대의 매체 교육 : 플루서의 코드 이론과 매체현상학을 중심으로

Media Education in the Postliterary Age : With an Emphasis on Flusser s Code Theory and Media Phenomenology

  • 350

이 논문은 탈문자 또는 탈경계 매체 시대의 매체 교육을 논의하려는 시도로서 우선 상징체계인 코드를 작동하게 하는 구조라고 파악되는 매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지를 커뮤니케이션 철학자인 플루서의 코드 및 매체 이론을 통해 조명한다. 그런 다음 이 이론을 토대로 탈문자 또는 탈경계 매체 시대의 코드를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하는 매체 교육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를 다룬다. 탈문자 시대의 코드를 작동하게 하는 새로운 매체에 의해 중개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손과 눈이 동시에 작동하는 시청각적·상호작용적 매체에 시공간을 초월해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이다. 따라서 매체 교육은 기술적 형상을 텍스트로 해독하고, 반대로 텍스트를 기술적 형상으로 전환시키는 능력, 곧 기술적 상상력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더 나아가 탈문자 시대의 매체 교육은 개념적 사고능력, 미학적 그림 창조능력 그리고 상호작용적 게임능력이 요청되는 복합적인 매체 시스템의 조종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discuss the media education in the postliterary age. First, it must be clarified, on the basis of communication philosopher V. Flusser s theory of code and media, how should be understood the media in which operate codes as symbol system. Then this study treats what the media education should be, that means acquir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to apply codes in the age of post-literature or cross-boundary media. The competency of communication for the new media, in which the codes operate in the age of the post-literature, is the ability, above and beyond the time and space, to deal with the audiovisual and interactive media softly, where the hands and eyes operate simultaneously. The media education therefore should focus on the ability which decodes the technical pictures in a text, and which in opposition encodes a text in technical pictures. This ability can be called technical imagination. Further die media education in the postliterary age should aim the ability of conceptual thinking, the ability of aesthetic creation of technical pictures and management ability of complex media system that request interactive game ability.

I. 서론

II. 플루서의 코드 이론과 매체현상학

1. 코드 이론

2. 탈문자적 매체현상학과 기술적 상상

III. 탈문자 시대의 매체 교육

1. 기술적 형상의 탄생과 코드 혁명

2. 탈문자 시대의 매체 교육의 과제

IV.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