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 유형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for the Married Workers

  • 97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노동자의 여가참여를 통한 일·삶 균형을 위해 조직의 여가지원 가능성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을 충족하는 두 가지 조건의 관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주요 영향요인을 밝혔다. 그런 다음, 일-여가-가정 간 균형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가족친화조직 30~40대 기혼노동자 320명이며, 설문조사 자료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보면 첫째, 여가생활에서 기혼노동자의 주관적 시간웰빙은 일로 인한 여가시간압박(WL시간압박)과 여가만족 수준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을 지각하는 유형4를 기준으로 할 때 유형1의 주요 영향요인은 주당 노동시간이고, 유형2와 유형3은 주말 희망-실제 여가시간 차이와 여가지속성으로 밝혀졌다. 셋째, 네 유형은 일-여가 촉진과 일-여가 균형만족과 정적 관련성을 가졌다. 결론적으로, 여가생활에서 기혼노동자의 주관적 시간웰빙 인식은 낮은 WL여가시간압박 조건과 높은 여가만족 조건의 충족과 관련이 깊다. 따라서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 지원은 주관적 시간웰빙의 두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개인차원을 넘어 사회적 관심과 조직단위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요청된다.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leisure support for the married workers working for family-friendly firms. For this purpose, the types of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were developed and the effect of predictor variables of each type was investigated. Also, a balanc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eisure and family using the types was tes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0 married workers in their 30s~40s working for family-friendly firm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consisted of four types according to work-to-leisure time pressure and leisure satisfaction levels.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types were working week, difference between preferred and actual weekend leisure time, and leisure continuity. Also,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group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work-leisure facilitation and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In conclusion, workers are aware of their self-perceived temporal well-be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work in lower time pressure and feel higher leisure satisfaction in leisure activities. That means the leisure support policy for workers should support by organizational unit beyond individual and family level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