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상담자 발달수준, 정서인식의 명확성, 자기자비 및 공감능력의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상담자 362명을 대상으로 상담자 발달수준 척도, 정서인식의 명확성 척도, 자기자비 척도, 공감능력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350명의 응답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였고,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통하여 최종모형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상담자 발달수준과 정서인식의 명확성, 자기자비 및 공감능력 간에는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 발달수준이 정서인식의 명확성, 자기자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공감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정서인식의 명확성은 자기자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공감에는 간접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자비는 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상담자 발달 수준과 공감능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자기자비는 순차적으로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unselor development level, emotional clarity, self-compassion, and empathy ability. For this purpose, 362 counselors from various regions in the country completed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counselor development level scales, emotional clarity scales, self-compassion scales, and empathy ability scales. Among these, 350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search model and competition model were established and the final model was selected through the fit of th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unselor development level, emotional clarity, self-compassion and empathy ability. Second, the counselor development level had a direct effect on the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and an indirect effect on empathy. Third, the emotional clarity had a direct effect on self-compassion, an indirect effect on empathy, while self-compassion had a direct effect on empathy.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development level and empathy 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were mediating completely in such ord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