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23.jpg
학술저널

부적응 유아 관련 국내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Maladjusted Children in Korea

  • 62

본 연구의 목적은 부적응 유아 관련 국내연구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부적응 유아 관련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부적응 유아 관련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국내에서 부적응 유아 관련 연구가 처음으로 시작된 1995부터 2018까지 24년간 발행된 학위 논문 92편, 학술지 논문 75편, 총 167편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준거는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유형이며, 분석결과는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 유아 관련 연구시기별 동향은 1995년 처음 연구가 수행된 이후로 2007-2012년 시기에 가장 활발히 수행되었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유아가 62.9%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부모 20.4%, 교사 11.3%, 혼합 3%, 기타 2.4%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양적연구가 73.6%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질적연구 15%, 문헌연구 10.2%, 혼합연구 1.2%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향후 부적응 유아 관련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es on maladjusted children by reviewing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es on childre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on maladjusted childre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 total of 167 articles, which includes 92 dissertations and 75 academic journals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within 24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first research on maladjusted children in 1995 to 2018,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The analysis was based on research period, the subjects, and the research types. The analysis results were calcula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researched on maladjusted children were most actively conducted in the period of 2007-2012 after the first study which was completed in 1995. Second, the trends on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e following: children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with 62.9%, followed by parents with 20.4%, teachers with 11.3%, mixed with 3% and others with 2.4%. Third, the trends on type of research were 73.6% for quantitative research, 15% for qualitative research, 10.2% for literature research and 1.2% for mixed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explored for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maladjusted children and suggested specific implication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