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학생의 행복가치관과 목회자 정체성 관계에 미치는 성경공부와 기도생활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Bible Study and Prayer Life of a Seminaria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Value and Pastoral Identity
- 안병덕(Byung-Duck An)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9권 8호
- 2019.08
- 135 - 149 (15 pages)
본 연구는 신학생들의 목회자 정체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연구이다. 본 연구의 분석은 행복가치 측정도구 6개 항목의 요인을 추출하여 행복요인의 가치수준과 목회자 정체성 관계에서 기도생활과 성경공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리 활동여부에 따른 행복가치의 인식차이에서 동아리활동 참여자가 사회봉사와 대인관계 인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봉사활동여부에 따른 행복가치의 인식차이에서 봉사활동 참여자가 사회봉사인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학업만족과 기도생활이 목회자 정체성에 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대인관계의 중요를 낮게 인식할수록 목회자 정체성도 유의하게 낮아졌다. 넷째, 성경공부가 독립변수에 포함된 분석에서 외향행복은 목회자 정체성에 영향이 없지만 성경공부를 통해 목회정체성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따라서 적절한 기도 생활과 성경공부는 행복가치수준과 목회자 정체성 관계에서 신학생의 목회자 정체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of program development to enhance the identity of pastors. The analysis of the study extracted the factors of the six items of happiness value measuring instruments and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rayer life and Bibl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happiness factors and the pastor s ident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high social service and interpersonal awareness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club activities in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f happiness value according to club activiti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olunteer service participants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 in happiness value according to volunteer activities. Third, academic satisfaction and prayer lif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astoral identity and the lower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lower the pastoral identity. Fourth, in the analysis of Bible study includ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outward happiness did not affect pastoral identity, but through Bible study, pastoral identity increased. Therefore, proper prayer life and Bible study can enhance the pastor s identity as a pastor.
1. 서론
2. 연구방법
3. 분석 결과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