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23.jpg
학술저널

광주민주화운동 관련 도덕적 손상 연구

A Study on Moral Injury of Gwangju Democracy Movement

  • 139

본 연구는 광주민주화운동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세대가 경험하는 이차 또는 부차적 피해에 관한 것이다. 광주민주화운동을 경험한 세대의 트라우마는 사라지지 않고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다음 세대로 전이된다. 연구는 평범한 시민이 트라우마를 경험하고, 인식하고, 살아내는 과정을 통하여 사회적 트라우마와 연결됨을 밝힌다. 기존의 트라우마적 사회진단의 한계를 인식하고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손상을 개념적 대안으로 제시하여 사회적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사회통합을 이르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도덕적 손상은 옳은 것에 대한 배신을 경험할 때 발생하는 심리학적 외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미국의 전역군인의 정신건강을 연구하던 정신과 의사 Shay가 제안한 개념이다. 연구는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해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를 구분하는 것에서 나아가 관련된 모든 생존자들이 내러티브를 표현할 수 있도록 안전지대가 필요하고, 여기에 도덕적 손상 개념이 유용함을 주장한다.

This study suggests secondary or collateral damages experienced by generations who did not directly suffer from the Gwangju Democracy Movement. The damages from traumatic incidences do not disappear but are transferred to the next generations with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is study reveals that an ordinary citizen is connected with social trauma through the process of experiencing, perceiving, and living trauma.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raumatic social diagnosis, this study suggests moral injury as a conceptual alternative to find the possibility of healing social trauma and reaching social integration. Moral injury is a psychological trauma that occurs when one experiences betrayal of what is right, a concept proposed by Dr. Shay who investigated the mental health of American veterans. Moral injury is meaningful for establishing a safe zone to stop discriminating between perpetrators, victims, and bystanders and to allow all related survivors to express narrative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고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