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경주예술학원의 음악과 운영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Gyeongju Arts Academy -Focusing on the Department of Music-

  • 58

경주예술학원에 관한 대표적 연구는 3편이 있다. 그것은 김복기의 “경주화단 60년의 발자취”, 노동은의 “이의성(팔성), 그는 누구인가” 그리고 이애선의 “경주예술학교의 설립과 전개과정”이다. 김복기와 이애선의 연구는 미술에 한정되어 있으며, 노동은의 연구는 경주예술학원에 관여한 음악가 이의성에 국한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경주예술학원의 설립과 음악과 운영에 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 이유는 음악과에 대해서는 노동은의 연구가 유일한데, 그의 연구는 전체적인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어 심각한 문제점을 낳고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지만 다행히 설립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술과를 중심으로 있었기에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잘못 알려진 내용을 바로잡고, 새로운 내용을 제시하여 바르게 이해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객관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일간지에 소개된 경주예술학원의 관련 기사내용을 제시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논지를 전개하였으며, 아울러 기존의 잘못 연구된 내용을 검토한 후 수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추구한 결과, 경주예술학원의 음악과에 대해 여러 가지 내용이 새롭게 확인되거나 밝혀졌다. 처음 경주예술학원의 주체는 경주문화협회이며, 음악과 교수는 바이올린에 이의성과 한준길, 첼로에 이호성, 피아노에 박정양, 성악에 한순각 등 5명임을 밝혀졌으며, 또한 처음 입학한 음악과 학생은 35명이며, 그중 14명의 이름과 전공을 확인하였다. 이후 1949년 5월 1일 만송교육재단(만송 최찬해)에 의해 새롭게 재개교할 당시 음악과 잔유 학생은 모두 16명이었음도 알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잘못 알려진 사실을 바로잡아 경주예술학원에 관련된 지나간 발자취를 재조명하는 연구로의 디딤돌이 되게 되었다.

There are three representative studies on Gyeongju Arts Academy. It s Kim Pok-Gi s[Kim Bokgi] “The 60 Years Footprint of Gyeongju Artists”, No Tong-Ŭn s❲Noh, Dong-Eun] “Lee, Eui-sung, who is he?”, and Yi Ae-Sŏn s❲Lee Aeseon] “The Chronicle of Gyeongju Arts School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study by Kim Pok-Gi and Yi Ae-Sŏn is mostly limited to art, and the study by No Tong-Ŭn is limited to a musician Yi Hŏi-Sŏng❲Lee Eui-Sung] who has been involved in Gyeongju Arts Academy. This manuscript looked at the establishment of Gyeongju Arts Academy and the operation of the department of music. Although most of the department of art of Gyeongju Art Academy have been discovered, there is only one study on the art department by No Tong-Ŭn. But his research lacks overall objectivity and there is a serious problem. Under the above circumstances, this study started. Fortunately, there has been a prior study of the establishment which helps to confi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rrect what has been misinformed so far and to present new contents to understand correctly. In order to give objectivity to the research, I will present the contents of related articles on Gyeongju Arts Academy, which was introduced in the daily newspaper, and develop my thesis based on them. In addition to the existing wrong research, the revision was intended after review.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new findings on the department of music of Gyeongju Arts Academy. 1) Initially, the main body of Gyeongju Arts Institute was Gyeongju Culture Association(chairman Choi Yun), and it was confirmed that Yi Chae-U and Chŏng Dŏk-Yŏng took the lead. 2) There are five professors, Yi Hŏi-Sŏng(Violin), Han Chun-Gil(Violin), Yi Ho-Sŏng(cello), Pak Chŏng-Yang(piano), Han Sun-Gak(vocal). 3) The students who first entered Gyeongju Arts Academy on May 5, 1946 are 35. Twelve of them can be named and their major can be found. They are Kim Chin-Ho(piano), Kim Hae-Hak(vocal), Pae Yun-Jo(piano), Son Chi-Ik(Violin), An Mu-Gŭn(piano), O Yŏng-Hak(vocal), Yi Sang-Don(piano), Yi Chong-Yong(vocal), Ch’ae Ch’an-Yong(vocal), Ch’oi Pyŏng-Lim(piano) Ch’oi Chong-Sŏk(piano), Hoang T’ae-Yŏn(cello). 4) The department of music of Gyeongju Arts Academy failed to operate normally in March 1948 due to the biggest reasons for ideological and financial problems since May 4, 1947(The Concert Celebrate the First Anniversary of Opening). As a result, It failed to produce graduates together on May 11. 1949 like the department of art. 5) The students remaining at the time of the new reopening by the Mansong Education Foundation(Mansong, Ch’oe Ch’an-Hae) on May 1, 1949 totaled 16. They broke up during the Korean War in 1950. In addition, Gyeongju Art Academy has become completely difficult to operate because of the department of music professors Yi Ho-Sŏng and Han Chun-Gil defected to North Korea.

1. 머리말∶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기존 경주예술학원의 음악과 내용

3. 경주예술학원의 음악과 운영 내용

4. 맺는말∶경주예술학원 음악과의 진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