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70.jpg
KCI등재 학술저널

시각장애인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of Disability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 90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장애 및 개인적 특성, 고용 및 환경적 특성이 장애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장애수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6년도 장애인고용패널의 2차웨이브 1차 조사에 참여한 전체 조사대상자 4,577명 가운데 시각장애인 591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평균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장애수용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애가 경증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취업시 가족의 지지가 많을수록 그리고 차별경험이 덜 한 시각장애일수록 장애수용정도가 높다고 제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시각장애인의 장애수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사점 및 제언으로서는 첫째, 시각장애인의 장애수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무엇보다 개인의 내적 경험에 초점을 맞춘 조기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강화되어야 하고, 둘째, 시각장애인에게 가족이나 친밀한 관계의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사회 및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및 교육 프로그램이 증진되어야 한며, 마지막으로 시각장애로 인한 차별경험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동료상담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할 것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acceptance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nd to find factors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sabili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ffecting acceptance of disability. The data analyzed was extracted from 2016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This study was based on 591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analyzed the effect on acceptance of disabilities by means test,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of disability was degree of disability, self-esteem, family support,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Support strategie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acceptance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based on the findings. First, to improve acceptance of disability, early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s should be strengthened, which focused on the individual s internal experience. Second, information an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encouraged that enable families and relatives to provide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to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Finally, to overcome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the visually impaired, a peer counseling program should be activated.

Ⅰ.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V.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