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71.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인 고용평등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eople with Disability Employment Equality Indicator

  • 49

이 연구는 사업체에서 장애인 근로자의 고용평등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외 선행 연구를 검토해 개념적 준거의 틀을 형성하고,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와 AHP 조사를 진행하였다. 장애인 고용평등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는 6개의 상위지표와 20개의 하위지표로 도출되었다. 상위지표는 노동참여, 고용안정, 노동보상, 노동위상, 고용환경, 장애민감성으로 구성되었고, 하위지표는 장애인 고용률, 모집 및 채용 방법, 채용과정에서 정당한 편의, 근로시간, 고용형태, 이직률, 해고율, 임금수준, 보험 가입률, 복리후생, 관리직 및 전문직비율, 단순노무직 비율, 승진 소요기간, 편의 시설 설치율, 교육 참여, 정당한 편의제공, 노동조합 참여, 장애인식 개선교육 실시여부,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여부, 직종 또는 사업장 분리여부의 지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장애인 고용평등지표의 상대적 가중치를 1,000점을 기준으로 전체 순위를 살펴보면, 고용형태(163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용률(141점), 모집 및 채용 방법(111점), 임금 수준(91점), 채용과정에서 정당한 편의(83점), 이직률(55점), 해고율(48점), 편의시설 설치율(39점), 관리직 및 전문직 비율(35점), 근로시간(35점), 복리후생(33점), 보험가입률(31점), 장애인식 개선교육 실시여부(27점), 정당한편의제공(27점), 승진소요기간(18점), 단순노무직 비율(17점),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여부(17점), 교육참여(14점), 직종 또는 사업장 분리여부(10점), 노동조합 참여(8점)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develop an indicator that measures the level of employment equality of workers with disability in work place. The Delphi method was applied in order to select an indicator that can measure the employment equality level. In addition, the AHP method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weight of the relative importance and then develop an indicator that measures the employment equality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roduced 6 top indicators and 20 sub indicators that can measure the employment equality level of the workers with disability. The top indicators are composed of labor participation, employment stabilization, labor reward, labor status, employment environment, disability sensitiveness. The sub indicators are composed as follows. The labor participation has 4 sub indicators which are 1) people with disability employment rate, 2) recruitment method, 3) legitimate accommodation during the recruitment process, and 4) working hours. The 3 sub indicators of the employment stabilization are 1) type of employment, 2) job turn over rate, and the 3) job dismissal rate. The 3 sub indicators of the labor reward are 1) wage level, 2) insurance application rate, and 3) welfare benefits. The 3 sub indicators of the labor status are 1) manager and professional job rates, 2) simple labor rate, and 3) duration time for promotion. The 4 sub indicators of the employment environment are 1) convenient facility installation rate, 2) education participation, 3) justifiable convenience offering, and 4) labor union participation. The 3 sub indicators of the disability sensitiveness are 1) implementation of education to improve the awareness of disability 2) recognition of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and 3) separation of the employment type and work plac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