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장애인 직업재활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장애인 직업재활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 연도별, 주제별,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등의 측면에서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직업재활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 1997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직업재활 분야의 연구 92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연도별 연구주제, 연구방법, 자료수집방법, 연구대상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우선 연구주제의 경향은 직업재활의 실천에 관한 논문이 절반을 차지하였으며, 2003년을 기점으로 연구수가 늘어나 현재까지 꾸준히 연구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00년대 이전에는 정책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연구가 실시되다가 2003년에 들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며, 특히 실천분야는 시간이 지나도 꾸준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조사연구가 절반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문헌연구는 2000년대 초반에 활발히 이루어지다가 갈수록 그 비율이 감소하였고, 2010년대 후반에 들어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연구주제에 따른 연구방법, 자료수집방법, 연구대상 분석 결과, 이론분야와 실천분야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정책분야는 주로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을 하고 있었다. 연구주제에 따른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이론분야와 실천분야는 다양한 자료수집방법을 활용하고 있었다. 연구주제에 따른 연구대상을 분석한 결과로는 이론분야와 실천분야에서는 주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에 따른 자료수집방법, 연구대상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우선 자료수집방법별로 분석한 결과로 조사연구에서는 7개의 분류에 따른 모든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있었고, 질적연구는 이차자료분석을 제외한 나머지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있었으며, 대상별로 분석한 결과로 조사연구는 교육과정/프로그램을 제외한 모든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고, 문헌연구는 장애인, 서비스제공자, 사업주/동료근로자, 재활서비스조직, 교육과정/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제언으로는 첫째, 신뢰도, 타당도의 향상과 연구의 질적 수준 담보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의 공동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재활상담사가 국가자격으로 된 이후 장애인재활상담사를 연구주제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the research trend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erms of year, theme, research method, su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vocational rehabilitation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92 studies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the domestic journals from 1997 to 201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data collection methods, and research subjects for each year, the tendency of research subjects was half of the papers on the practi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field of practice has been steadily researched since 2003 as the number of researches has increased. Prior to the 2000s, research on policies and theories was conducted, and in 2003, it expanded to various fields. Especially, the field of practice has been studied steadily over time. Research methods accounted for nearly half of th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early 2000s, but the ratio has decreased and it has been increasing again in the late 2010s. Second, research methods, data collection methods, analysis results, theoretical fields and practice fields are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s, and policy fields are mainly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s a method of collecting data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 various fields of data collection were utilized in the field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field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subjects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s, researches were conducted mainly on the disabled people in the field of the field and practice. Third, the data coll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ll the methods according to the seven classification in the survey study.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collecting data through other methods except for secondary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subjects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in all groups excluding the curriculum/program. Literature studies were targeted at disabled people, service providers, employers/co-workers, rehabilitation services organizations, and curriculum/ programs. The suggestions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collaborative research in various fields is need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o assure the quality level of research. Second, after the disabled rehabilitation counselor became a national qualification, research on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of the disabled is need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