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73.jpg
KCI등재 학술저널

음성장애 성인과 직업적음성사용자의 음성문제 자각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Handicap Index on Voice Problems between Dysphonic and Occupational Voice Useres

  • 127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는 음성문제 혹은 음성장애를 갖게 된 아동이나 성인들은 의사소통의 곤란을 경험하고 이는 개인적으로 삶의 질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어려움을 만날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이 연구는 음성장애를 의학적으로 진단받은 성인과 직업적으로 음성을 많이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성인들 그리고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자기 인식 음성 문제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추후 직업 및 작업환경, 신체적 문제로 인해 음성장애를 겪을 수 있는 성인들을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202 명이고, 91 명의 음성장애환자와 56 명의 직업적 음성사용자(예, 교사, 언어재활사, 기타등), 55 명의 일반 성인이다. 설문평가에 참여하 성인들은 모두 일상생활에서 정상적인 의사소통을하며 연령범위는 20세에서 70 세까지이다. 이 대상자들은 설문평가 일자를 기준으로 해서 3개월 이내 음성문제로 의학적인 진단을 받은 경험이 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평가 도구는 2개이며, 하나는 음성문제가 있는 아동이나 성인(노인)들을 대상으로 재활영역에서국내외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Jacobson et al.,(1997)이 개발한 음성장애지수(voice handicap index, VHI-30개 문항) 평가도구이며, 한국어로 번안되어 타당도가 연구된 설문도구를 사용하였다. 또다른 평가도구P(음성문제자각지수(self awareness index of voice problems, SAIVP-15개 문항)는국내 연구자가 개발한 것으로 두 개 평가도구 모두 5점 척도로 평가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지수가 높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서 VHI와 SAIVP 점수에서 그룹 간 차이를 찾기 위해ANOVA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룹 내의 VHI와 SAIVP와의 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VHI와 SAIVP의 총 점수는 다른 전문적이고 일반 성인 음성 사용자들과 같은음성장애자들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ANOVA 분석 결과 VHI 합계, VHI-Funtional 및SAIVP의 총 점수에서 세 그룹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두 번째로, 그룹 내에서 VHI 점수와 SAIVP점수사이에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1). 본 연구의 결과는 발성장애의 유형과 직종에 따라 음성 문제의 자기 인식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음성 문제의 인식은 직업환경에서의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보여진다.

Voice handicap index have been widely applied as a meaningful protocol to evaluate patient’s self-awareness of voice problems. The aim of our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self-awareness voice problems between dysphonic speakers and occupational voice users. 202 spea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91 dysphonic speakers, 56 occupational voice users(teacher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etc), 55 non-occupational voice users. All participants were from 20 to 70 ages without language. speech, and hearing problems. Two kinds of survey to questionnaire to assess voice problems were used in this study. Korean validated translation of VHI(voice handicap index, total 30 items) and SAIVP(self awareness index of voice problems, 15 items). For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scores of VHI and SAIVP, one-way Anova analysis was used. And the relations with VHI and SAIVP within each groups was assessed using by Pearson correlation(p<0.01). The results were follow as: First, total scores of VHI and SAIVP were shown higher in dysphonic speakers compared to other occupational and non-occupational voice users. And one-way Anova analysi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total scores of VHI total, VHI-Funtional and SAIV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scores of VHI, each subscale of the VHI and SAIVP within three groups(p<0.01).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lf-awareness of voice problems may be differ according to dysphonic types and occupations. It needs to be more studied in clinical aspec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