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73.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학생 졸업 후 취업에 대한 기관실무자의 인식과 지원 실태

Institutional Practitioners’ Recognition and Actual Status of Job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53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졸업 후 취업에 대한 기관실무자의 인식과 지원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장애학생의 취업과 직업유지를 위한 지원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기관실무자 105명을 대상으로 장애학생 졸업 후 취업지원에 대한 인식과 지원 실태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졸업 후 취업지원 실태를 살펴 본 결과졸업 후 지원에 대해서 기관 내에서는 취업 직전 특별교육이 가장 많았고 취업을 위한 활용기관과 정보취득은 장애와 관련된 장애인 종합복지관, 장애인고용공단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학생의 졸업 후 취업지원과 직업에 대한 기관실무자의 인식을 살펴 본 결과, 장애학생의 취업지원을 위해서는 취업담당업무전담인력이 필요하며, 현장관찰 및 적응지도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를 위해 선행지원으로 전담인력 채용 및 예산지원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장애학생의 직업에 대한 인식은긍정적인 수준이었고, 기관 실무자의 배경 변인에 따라서는 연령과 근무지,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학생의 졸업 후 취업과 직업유지를 위해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할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pport status of employ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 actual situation and recognition of the support of institutional practitioners after gradu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05 practitioner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 First, the special education before the employment was the most in the post-management institution, and the utilization institution and the information acquisition for employment were the general welfare center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employment agency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faculties were necessary to provide employment support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bove all, it was necessary to hire full-time human resources and provide budget support. Finally, in terms of recognition on vo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level of recognition was positiv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institutional practitioners such as age, type of workplace, care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pportive measures that should be provid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fter graduation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