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74.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특수학급 내 장애학생의 공격성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Aggression and Atten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 83

본 연구는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특수학급 내 장애학생의 공격성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추후 장애학생의 교육적 재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특수학급내에서 장애학생은 문제행동을 보였을 경우에만 중재를 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방식의 중재 유형은결국 부적절한 관심을 통해 문제행동을 오히려 강화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P시와D시, K시에 위치한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이며 학급 내 수업 중 공격성과 산만함과 같은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에 기반을 둔 중재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공격성과주의집중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행동을 기반으로 바람직한 행동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특수학급 내 장애학생의 공격성을 감소시켰다. 둘째,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특수학급 내 장애학생의 주의집중력을 증가시켰다. 긍정적 행동지원은 최근 행동 중재의 여러 분야에서 주요 관심 주제로 거론되고 있으나 장애학생을위한 교육재활적 접근에서는 단일사례로 다루어진 연구가 일부 소개되고 있을 뿐이다. 본 연구를 통해몇 가지 단일사례에 나타난 접근법을 집단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장애인의 교육재활과 함께 나아가서는 효율적인 전환 교육의 기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aggression and atten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al rehabilit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special classroom,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ten receive interventions only when they show problem behaviors. This type of intervention often reinforces problem behaviors through improper attention. We selected 15 students attending special classes in P, D, and K schools and showing problem behaviors such as aggression and distraction during classroom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behavior support reduced the aggressive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Secon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creased atten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Positive behavior support has recently been discussed as a major subject of interest in many areas of behavior intervention, but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introduced as a single case in the educational rehabilitation approach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applying the approach shown in several single cases effectively to groups can provide a basis for effective transition education along with edu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