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75.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사회경제적 지위간의 종단적 상호교육관계 검증 :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이용하여

An Empirical Test of the Interactionist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OI : 10.24226/jvr.2017.08.27.2.91
  • 100

본 연구는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각 변수 간 한방향의 인과관계에서 보는한계를 넘어, 이 두 변수 사이의 발달관계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것으로 가정하는 상호교류모델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의 6∼8차 자료를 활용하여 결측자료를제외한 2,906명을 자기회귀교차지연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와 정책적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먼저, 연구결과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 생활만족도 모두에서 강한 자기회귀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 간의 상호교류관계에서도 교차지연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통제변수로 설정한 기초생활수급여부와 경제활동유무, 주택 소유 형태 등의 변수도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장애인의 사회경제적지위와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more useful information on policy intervention beyond the simpl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by examining the interchange model which assumes that socio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mutual influence. To do this, 2,906 people except the miss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6th to 8th data of employment panel for the disabled. As a result of analysis, socio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strong self regression effect, and mutual exchange rel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was confirmed. In addition, the variables such as whether basic living conditions, economic activities, and the type of home ownership, which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factors on socio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policy direction to increase socio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Ι.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