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88.jpg
KCI등재 학술저널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 직업 만족도와 직업 적합도에 대한 연구

Study on South Korean Masseurs with Visual Impairments Job Satisfaction and Job Fit

  • 53

본 연구는 현직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 인구 통계학적 변인들과 그 가운데에서 특히 일하는 장소, 성별 및 학력 변인들의 상호작용이 그들의 직업 만족도 및 직업 적합도에 차이를 나타내는가에 대한것이다. 서울에서 안마시술소 및 안마원에서 일하거나 헬스키퍼 및 출장안마사의 형태로 안마서비스를제공하는 198명의 현직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이 본 연구에 참여 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다변량 공분산분석 (MANCOVA)을 실시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현직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 성별, 안마업 종사 기간, 학력, 월 평균 소득, 시각장애 정도 및 시각장애 전후 다른 직업 경험 등의 변인들에 의한 직업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연령과 일하는 장소의 변인은 그들의 직업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주었다. 즉, 젊은 안마사들은 높은 연령의 안마사에 비해, 안마시술소에서 근무하는 안마사들은 안마원에서 일하는 안마사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직업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안마시술소에서 일하는 남성 안마사의 직업 만족도는 안마시술소에서 일하는 여성 안마사의 직업 만족도에 비해, 그리고 출장안마를 하는 여성 안마사의직업 만족도는 출장안마를 하는 남성 안마사의 직업 만족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안마시술소에서 일하는 고졸 이하 학력 안마사의 직업 적합도는 안마시술소에서 일하는 대졸 이상 학력 안마사에직업 적합도에 비해, 헬스키퍼로 일하는 대졸 이상 학력 안마사의 직업 적합도는 헬스키퍼로 일하는고졸 이하 학력 안마사의 직업 적합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직업재활 전문가를 위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outh Korean masseurs’ with visual impairments‘ demographic variables and interaction of variables as work places, gender, and academic level differentiate their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job fit. Total of 198 South Korean masseurs with visual impairments, who are currently working at massage parlors, therapy oriented-massage centers, and the form of healthkeeper and mobile massage in Seoul participated in current study. The findings through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were as follows: First, South Korean masseurs’ gender, working period, academic level, income, the level of visual impairment and the other job experience before/after their disability were not found to make any difference in their overall job satisfaction, but variables of age and work places. That is, younger masseurs, compared to the older and masseurs who are working at the massage parlors, compared to masseurs in the therapy oriented-massage centers, showed significantly low level of job satisfaction. Second, male masseurs in massage parlors, compared to female, and female masseurs in the form of mobile massage, compared to mal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Third, masseurs who are working at the massage parlors and whose academic level is under high school graduate, compared to over college graduate, and masseurs who are working as healthkeepers, and whose academic level is over college graduate, compared to under highschool graduat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job fit perception.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based on such results were provided.

Ι. 문제 제기와 연구의 필요성

Ⅱ.문헌고찰

Ⅲ.연구방법

Ⅳ.연구결과

Ⅴ. 연구 결과의 요약 및 함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