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89.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감정노동 및 전담인력의 지지가 활동보조인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Emotional Labor and Coordinators‘s Social Support of Personal Assistant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and Mediation Effect of Job stress

  • 36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감정노동 및 전담인력의 지지가 활동보조인의 이직의도에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종합적으로 검증하여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이직의도를 예방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3년 12월 26일부터 2014년 1월 24일까지 약 4주간에 걸쳐, 대전, 충남, 경인,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6개 사회복지 관련 기관의 장애인 활동보조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활동보조인의 이직의도 수준은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활동보조인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전담인력의 지지는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활동보조인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담인력의 지지와 이직의도 관계에서도역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minishing the intent to leave of personal assistants, through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mong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the intent to leave. The survey was conducted upon 600 personal assistants of 6 social work institutions in Daejeon, Chungnam, the Seoul-Incheon district and Ulsa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employed for mediating effect using Amos 18.0.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of coordina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 to leave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job stress. Through these findings, implication related with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 for diminishing the intent to leave of personal assistant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