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990.jpg
KCI등재 학술저널

역량강화프로그램이 입원한 만성정신장애인의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mpowerment program on subjective well-being of the hospitalized chronic mental disabled people

  • 30

본 연구는 입원한 만성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가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동작중심표현예술치료의 삶/예술과정으로 접근한 역량강화프로그램이 입원한 만성정신장애인의 주관적안녕감에미치는 효과 검증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연구대상은 입원한 자 중 만 18세 이상 65세까지의 성인으로서 발병 일을 기준으로 5년 이상 약물치료 및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2월 12일부터 2015년 12월 29일까지이다. 먼저 예비 집단을 선정한 다음 역량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수정⋅보완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편의표집 한 다음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전/사후/추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소유형태에 따라 주관적안녕감에 차이가 있으며, 자가 주택소유자는 상대적으로 주관적안녕감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먼트가 증가할수록 주관적안녕감 수준이 높았으며, 자아존중감과 실제적 힘의 순으로 주관적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원한 만성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역량강화프로그램은 주관적안녕감과 임파워먼트를 증진시키고, 내현적자기애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empowerment of hospitalized chronic mental disabled people on the subjective well being and to verify the effect of empowerment program accessed with movement based expressive arts therapy and life/art proces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hospitalized chronic mental disabled people. The research targets were hospitalized adults in 18~65 years old having more than 5 years of medication therapy and rehabilitation therapy. Data was collected from Feb. 12, 2015 to Dec. 29, 2015. In the first place, the preliminary group was selected and then empowerment program was revised and updated. Random sampling of test group and comparison group was selected. It was followed by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using structural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difference in subjective well-being by the type of ownership of housing and home owner had relatively less subjective well-being. Secondly, as empowerment increased, subjective well-being increased. Self-esteem and actual power had an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in a highest order. Thirdly, empowerment program to hospitalized chronic mental disabled people was proved to improve subjective well-being and empowerment and to reduce covert narcissism.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