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증장애인 고용유지 및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직무지도원(job coach)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Consumer-directed Satisfaction and Services Needs for Job Coach Services
- 이혜경(Lee Hye Kyeong) 송창근(Song Chang-Keun) 김항구(Kim Hang-Gu)
- 한국직업재활학회
- 직업재활연구
- 제25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5.12
- 69 - 90 (22 pages)
직무보조인 지원사업은 중증장애인의 고용유지 강화를 위해 시작된 사업으로서, 지원고용 대상자 이외 사업체에 고용된 장애인근로자의 직무향상과 고용유지를 위한 제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전문 인력과 제반의 예산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직무보조인을 사업체 현장에 배치하는 이유는 장애인의 고용유지 이외에도 고용주의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극복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하지만 직무보조인 사업과 관련한 평가는 수행기관의 실적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무보조인 사업의 수요자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 근로자와 사업주의 욕구나 만족도에 대해서는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해 직무보조인 사업의 수요자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 근로자와 고용주의 욕구 및 만족도를 통해 장애인 고용유지 및 확대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Job coach support project is a project started for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keep strengthening. The project assistant job and support professionals to provide various services for supported employment of disabled workers employed person other than a business improvement jobs and maintain employment. The reason for placing the job-site is also assistant to businesses in order to overcome negative prejudices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o employers maintain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owever, with respect to job evaluation project assistants have not been identified for the results being achieved mainly because of disabilities it can be said consumers assistant business job worker and employer needs and satisfaction of performing institutions. Therefore, by identifying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employees with disabilities and employers can be said of the job aide consumer business through this study explores employment expansion and maintenance pla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 서론
II. 직부보조인 지원사업 현황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