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에 대한 그림동화를 활용한 행동주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Behavioral Art Therapy Using the Picture Books on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임지향(Lim Ji Hyang) 정재원(Jung Jae Won) 장진아(Chung Jin A)
- 한국직업재활학회
- 직업재활연구
- 제25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5.12
- 171 - 197 (27 pages)
본 연구는 그림동화를 활용한 행동주의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2급 남자 1명이다. 미술치료프로그램은 주 1회 80분씩 총 20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프로그램 진행 사전과 사후에 자기표현척도와 미술자기표현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매 회기 진행에 대하여 회기별 관찰지를 이용하여 내담자의 자기표현의 변화를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그림동화를 활용한 행동주의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표현의 하위영역에서 사전·사후 점수 상승과 부정적인 자기표현이 많이 개선되면서 작품에서도 자기표현의 확장이 이루어졌다. 둘째, 그림동화를활용한 행동주의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 과정 변화에 점진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단일사례연구로 일반화의 제한점이 있지만, 많은 반복과학습이 필요한 지적장애 아동들은 20회기동안 그림동화를 활용한 행동주의 미술치료를 통해 단순한 학습차원을 넘어 자유롭게 매체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자기표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 of behavior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with pictures on the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one male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grade 2 who is in elementary school. The art 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once a week, 80 minutes in each session and total 20 times. For the effect calculation of the study, we used a self-expression scale and art self-expression evaluation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firstly, it showed that behavior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with pictur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 was a pre and post score increase in the self-expression subdomain and also an expansion of self-expression in their works as their negative self-expression was improved. Secondly, behavior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with pictures has a gradual effect on the process change of self-expression of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conclusion,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it was hard to make a generalization as it was a single case study but we could realize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need a lot of repetition and learning are able to use the medium freely and not only as a learning process through 20 times of behavior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and also realized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express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