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크-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신체움직임 리듬교육관 형성 배경
Shaping of the Ideas of Jaques-Dalcroze, Kodály and Orff on Rhythmic Education through Corporeal Movement
- 송정주(Song Jeongju)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8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2019.08
- 103 - 127 (25 pages)
본 연구는 자크-달크로즈와 코다이, 오르프의 신체움직임 교수법을 그 사회ㆍ문화적 배경에 비추어 본 것이다. 이들의 교육관은 모두 국민국가 수립에 따른 시민 육성을 위한 신체움직임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던 시기에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설명 방식은 각기 달랐는데, 이는 이들이 활동했던 국가와 지역이 상이했기 때문이었다. 공연문화 전통이 일천한 프랑스어권 제네바에서 활동했던 자크-달크로즈는 발레가 필수인 프랑스 그랑 오페라 전통을 본보기로 삼았다. 반면 오르프가 신체움직임을 강조한 것은 정신에 치우친 관념적 음악관을 바로잡으려는 노력이었다. 고유 음악문화가 사라진 헝가리에서 코다이는 자신이 수집한 춤과 노래를 나눌 수 없는 민요 교육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를 이해하는 것은 현행 신체움직임 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body-movement education of Jaques-Dalcroze, Kodály and Orff in terms of their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ey all worked in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thus their explanations are different. Jaques-Dalcroze took French Grand-Opéra tradition as his model. Orff s emphasis was on the balance between body and mind slanted by the idealism of absolute music. Kodály applied various educational methods to the Hungarian folksongs collected by himself. The result will helps us to improve our music educational situation.
Ⅰ. 서론
Ⅱ. 자크-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가 음악교육에서 신체움직임을 강조하게 된 사회ㆍ문화적 배경
1. 자크-달크로즈와 프랑스 제3공화정
2. 코다이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
3. 오르프와 바이마르 공화국
Ⅲ. 리듬과 신체움직임에 대한 자크-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생각
1. 자크-달크로즈의 근육 움직임을 통한 리듬교육
2. 코다이의 가창에 바탕을 둔 리듬교육
3. 오르프의 즉흥적 표현에 의한 리듬교육
Ⅳ. 신체움직임을 통한 자크-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리듬교육관 비교
1. 공통점
2. 차이점
V.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