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038.jpg
KCI등재 학술저널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return-to-work among industrial injured workers

  • 78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 증진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2016년 근로복지공단 제4차 산재보험패널에서 3가지 직업복귀(원직장복귀, 재취업, 자영업)에 성공한 1,343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원직장복귀를 한 집단일수록 재취업이나 자영업 집단보다 직업만족도(임금 및 소득, 취업의 안전성, 일의 내용, 근로환경, 근로시간, 개인의 발전가능성,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가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직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시사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재장애인의 원직장복귀 의무제도를 도입하는 제도적 보완 조치가 필요하다. 둘째, 재취업이 이루어진 산재장애인을 대상으로 사후지도 서비스 제공을 통해 잠재적인 고용관련 문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고용유지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자영업을 선택한 산재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재고용 기회 제공과 자영업을 유지할 수 있는 전략 제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types of return-to-work (RTW) of the injured workers and to suggest strategies to improve the RTW rat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43 injured workers who succeeded in returning to the workplace at the 4th wave of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SWCI). Using frequency, descriptive, and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method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group with returning to the original workplace had higher job satisfaction level (i.e., wage/income, job security, job duty, working environment, working hours, potential personal growth,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ared to other groups. Based on this study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level of injured workers after RTW are following. First, an institutional supplementary system would be developed that employers must offer to re-employ injured workers after completing care. Second, follow-up services would be provided to cope with potential employment-related problems for injured workers. Third, opportunities for re-employment or strategies for maintaining their business would be provided for injured workers who chose self-employ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