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고용창출 및 확대방안을 위하여 장애인 스마트워크 기반구축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의 방법을 통해 스마트워크의 개념, 연구동향 그리고 장애인 스마트워크가 지향해야 할 방향 및 개념적 구성요소를 제시해보았고, 총 10명의 근로장애인 및 실무자를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조사(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워크 운영방식 및 관리방식에 있어서, 근로 장애인 및 실무자는 초보적인 수준의 환경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장애인 근무자들의 장애유형에 맞는 맞춤형 교육 지원과 일자리 창출 그리고 업무 환경의 제공과 「스마트」라는 용어에 부합되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위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장애인 스마트워크 활성화 및 기반구축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면, ①향후 스마트워크 근로자에 대한 동등한 지위 보장을 해줄 수 있도록 법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②장애인 스마트워크 초기 단계에서부터 고용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하고, ③높은 스마트워크 사업 비용을 고려하여 외국과 같이 민간기업 및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제시되었다.
With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over the last several years, employees now have the ability to work seamlessly away from the traditional office setting in the form of Smart-Work.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Smart-Work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1) the circumstances and practices in which Smart Work is most successful; and 2) the barriers that prevent more widespread use of Smart Work for employees with disabilities based on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issue and conducting a qualitative survey, that is a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the target groups. In conclusion, there are some suggestions to: ① new legislative initiatives which is central to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and supporting for employees; ② increasing employer participation in the area from the early stage; ③ needs of government and company support for high cost of building Smart Work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