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049.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비장애 대학생의 취업준비도 특성 탐색 : 잠재계층분석을 중심으로

Exploring Career Prepa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Focusing on Latent Class Analysis

  • 41

이 연구에서는 장애 대학생들의 취업 준비도 특성을 비장애 대학생과의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장애대학생들의 취업 준비도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취업 지원방안에 대하여 모색해보자고 하였다. 연구대상은 72명의 대학 재학 및 대학을 졸업한 장애인들과 1,500명의 비장애학생이며, 분석방법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장애 대학생은 비장애 대학생과 상이한 취업준비도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 대학생의 경우 네 개의 집단으로 구분이 되었지만, 비장애 대학생의 경우에는 세 개의 계층으로 구분이 되었다. 또한 장애 대학생의 경우 각 잠재 집단 내에서 6개 영역별 취업 준비 정도가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장애 대학생의 경우 각 집단 내 영역별 취업준비 정도가 고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를 하고 장애 대학생의 취업 준비를 지원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s to support by comparing characteristics of career prepara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The data from 72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1500 universit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e purpose of study. In order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career preparation, Latent Profile Analysis was used. Based on finding, fir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and student without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Furthermore, four group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labeled ‘high-career preparation group’, ‘career exploration group’, ‘below average career preparation group’, and ‘low-career preparation group’. In career exploration group, the score of official implement was highest and the score of social support resource was higher than peer average in ‘below average preparation group’ In ‘low-career preparation group’, the score of all areas showed lower than other groups, though the score of self-knowledge was higher than other five areas within group. Third, ‘high-career preparation group’ with disabilities resulted higher in five areas than that of ‘high-employment group without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 we discussed and suggested outstanding implication to support career prepar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