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057.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인의 취업 상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 성별과 장애정도를 중심으로

A Longitudinal Study of Effect of Employment Status Change on Life Satisfaction of Mid-aged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Comparison of Gender and Disability State

  • 58

본 연구는 중장년층 장애인의 취업 상태변화와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 연구를 수행하고, 그들의 성별과 장애정도에 따라 취업 상태변화가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조사한 제1차년도와 제4차년도의 ‘장애인 고용패널’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등록 장애인 4,397명 중 취업 여부에 응답한 30세 이상 64세 이하의 중장년층 3,792명을 중증남성, 경증남성, 중증여성, 경증여성으로 구분하여 SPSS 19.0을 수행하였다. 취업 상태변화와 생활만족도 간을 동태적으로 살펴본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취업 상태변화 중 지속적으로 취업을 유지한 경우와 비취업에서 취업으로 전환된 경우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중장년층 장애인들은 현재 취업 상태인 경우가 비취업 상태에 있는 경우보다 생활만족도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성별과 장애정도에 따라 취업 상태변화와 생활만족도 간에 차이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집단 간 이질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성별과 장애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나아가서는 장애인들의 삶의 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실천적인 개입방안과 정책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change on life satisfaction of mid-aged with disabilities, based on comparison of gender and disability state. For the study, 3792 data, which derived from the first wave and the forth wave data from,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SPSS 19.0 was used.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e change and life satisfaction in life cycle aspect, and the result was as follow. A employment maintenance and employment change among employment state changes appeared to be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of a mid-aged man. I found ou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sex and disability degree from thi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of employment state and life satisfaction. Form the result, we can raise understanding regarding a heterogeneity between groups. Based on the result, presented a practical intervention plan to be developed,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can be improved additionally with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and disability degree and policy impli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