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058.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업체의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The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Business Satisfaction o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25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체의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2010년 사업체장애인고용실태조사 에 참여한 장애인 고용기업체 1,578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체 특성, 채용방법, 업무특성, 지원제도 이용여부 변수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통계분석을 시행하였고, 만족도와 각 독립변수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독립변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특성 중 기업체가 대도시에 소재하는 경우 만족도가 높았다. 채용방법 중 기업체가 자체 모집하는 경우,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구분하지 않고 일반채용을 하는 경우, 채용과정이 용이할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업무특성 중 숙련요구도가 높을수록, 물리적 위험성이 낮을수록 전반적 만족도는 높았다. 그러나 사업주 지원제도 이용여부는 만족도와 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사업체의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만족도 제고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business s satisfaction o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PWD). The sample consists of 1,579 businesses participating in the 2010 Business Disabled Employee Status Study of the Korea Disabled Employment Public Corporation.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analysis, t-tests,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business s satisfaction on the PW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business s satisfaction level i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business in located in the major cities and they hire PWD through general process. In addition, the easier business feels the employment process of PWD, the higher satisfaction of business is. In terms of task characteristics, high skill requirement and low physical danger are associated with high satisfaction. However, the use of supported employment service is not the significant fact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business s satisfaction the PWD are suggested.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