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105.jpg
KCI등재 학술저널

긍정심리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재소자의 스트레스,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tres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mates

  • 312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재소자의 스트레스,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행복 및 긍정심리에 관한 이론들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Seligman(2006)과 강민아 외(2017)의 긍정심리 이론을 토대로 긍정심리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치소에 수감 중인 재소자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사전-사후 회기를 포함하여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매주 2회, 회기 당 60분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경상남도 M시에 위치한 구치소 재소자 중, 집중인성교육 대상자 20명을 실험집단, 다른 20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에만 긍정심리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들 대상으로 스트레스 반응 척도, 우울 척도, 심리적인 긍정적 기능척도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점수를 비교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공변량분석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는 F(1, 37)= 56.756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우울 감소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공변량분석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는 F(1, 37)=25.234 , p<.001 수준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공변량분석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는 F(1, 37)= 160.609 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tres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prisoners. For this reason, we considered the preceding study focusing on the theories of happiness and positive psychology. Based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theory of Seligman, Kang Min-ah and others(2017), the positive psychological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reorganized by modify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suitable for prisoners in jail. The program consisted of eight sessions, including a pre - and post-session session, twice a week and 60 minutes per session. The participants conducted a positive psychological group counseling program only for the laboratory population, consisting of 20 inmates in a detention center located in M,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20 others in a controlled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the stress response measures, depression measures, and psycho-positive positive functional measures were conducted on these subjects. To test the effects of this study, the stress response scale, depression scale, and psychological positive functional scale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est. Cronvach s Alpha was used to test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homogeneity test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zed by t test.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analyze the covariance analysis(ANCOVA)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factors affecting stress reduction, The effect of pre-post stress on the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rough covariance analysis was F(1, 37)= 56.756,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level of p<.001. Second,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showed that the effect of pre-post-depression o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 at F(1, 37)= 25.234, p<.001 level There was an effect. Third, th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that the effect of pre-post-treat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covariance analysis was [F(1, 37)= 160.609, p<.001].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