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110.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인근로자의 고용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the Workers with Disabilities

  • 29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의 질을 고용안정성, 발전가능성, 보상, 근무조건, 관계, 장애인식및이해도의 6가지 요인에 대하여 객관적 자료와 주관적 만족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측정하고 평가한 연구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장애인 고용의 질 지수 평균은 61.72점이고, 평균의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서 ±0.373점이다. 이 집단을 4분위수로 나누었을 때 좋은 일자리(상위 25%)는 고용의 질 지수가 69.72점 이상인 일자리를 말하고, 나쁜 일자리(하위 25%)는 질 지수가 54.07점 이하이며, 보통 일자리(중위 50%)는 고용의 질 지수가 54.07에서69.72점 사이에 속하는 일자리이다.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차수별 고용의 질 추이는 1차년도에 비해 2․3차년도의 고용의 질이 좋아졌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고용의 질 차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나빠지고, 학력이 높아질수록 좋아진다. 직업특성에 따른 고용의 질은 사업체규모가 클수록, 육체노동보다는 정신노동자들이 담당보다는 과장이나 부장 직급 고용의 질이 가장 좋고, 급여 지급방식은 연봉제 근로자 고용의 질이 가장 좋다. 취업특성에 따른 고용의 질은 본인이 직접 업체를 개발하여 취업한 경우가 고용의 질이 가장 좋고, 구직 기간이 길수록 고용의 질이 좋아 진다.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measure and estimate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on employment security,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come security, work condition, relationship, and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disability by considering objective data and subjective satisfaction synthet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average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index(QEI) was 61.72 and sampling error was ±0.373 with 95% confidence level. When dividing this group into four quartiles, the QEI of good jobs(upper rank 25%) was over 69.72 and that of bad jobs(lower rank 25%) was under 54.07. That of ordinary jobs(middle rank 50%) was between 54.07 and 69.72. The quality of employ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worse in older workers and better in higher level educational workers. The quality of employment according to job nature was better in bigger companies and those doing mental labor rather than physical labor. And that of section chiefs and department heads was the best and that of annual salary workers was the best. The quality of employment according to employment characteristics was the best in the workers hunting and getting jobs for themselves and that of the workers seeking jobs for a long time was better.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