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지체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임파워먼트, 건강증진행위, 취업의사의 구조적 관계 연구
A study on a structional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assistance service, empowerment, action of health promotion and job intention of adult with physical disabilities
- 이병화(Lee Byung Hwa)
- 한국직업재활학회
- 직업재활연구
- 제21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1.12
- 125 - 145 (21 pages)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성인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이후의 개인적 임파워먼트, 건강증진행위, 취업의사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성인지체장애인이 132명이며 주요변수들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LS(Partial Least Square)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활동보조서비스 질에 대한 만족도가 임파워먼트, 건강증진행위를 통해 취업의사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활동보조서비스 질에 대한 만족도가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임파워먼트와 건강증진행위를 매개로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활동보조서비스 성과를 높이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service outcomes associated with personal assistance of physical disability and in particular, evaluated a model suggesting that empowerment and action of health promotion mediate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PAS) and job intention. For this paper, eventually data of 132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was used and the Partial Least Square(PLS) analysis was us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variables. The effect of level of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PAS on job intention is significantly mediated by empowerment and action of health promotion. In other words, level of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PAS predicted empowerment that in turn, predicted action of health promotion and job intention. and again, action of health control affects job inten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