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110.jpg
KCI등재 학술저널

특수교육현장의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목적인식과 실행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Objective-understanding and intervention process of junior and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volved in community-based instruction

  • 17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중고등부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문서면접과 심층면접을 통해서 특수교사들이 인식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목적과 실행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들의 인식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목적은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활동’과 ‘장애학생의 미래를 준비하는 활동’으로 대비되어서 나타났다. 교사들이 인지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두가지 목적의 차이에 따라서 실행의 과정이 차별화되어서 진행되고 있었다.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활동’으로 인식하는 교사영역에서 주제 3개, 부주제 11개, ‘장애학생의 미래를 준비하는 활동’으로 인식하는 교사영역에서 주제 3개, 부주제 13개가 도출되었다. ‘장애학생의 미래를 준비하는 활동’으로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목적을 올바르게 인식한 특수교사는 목적에 맞는 체계적인 교수계획을 통해서 많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활동’으로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목적을 인식한 특수교사는 구체적인 교수계획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고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성과도 단순한 즐거움, 체력증가에 두고있었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현장에서 정기적으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행하고 있는 특수교사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목적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그에 맞는 교수계획을 준비하여서 장애학생을 지도할때에 비로소 장애학생이 지역사회에서 최대한 독립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할수 있다. 현장 특수교사들이 지역사회중심교수 목적을 바르게 인지하고 이에 따른 구체적인 교수계획에 관한 전문성있는 지식을 갖춘 지역사회중심교수자가 되기 위해서는 연수 및 교사 성공사례발표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This is a research on objective-understanding and intervention proc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 for special schools or resource rooms. As results, special teachers objectives-understanding for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activities to offer variety of experiences and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repare for the future Three main themes and eleven sub themes came out from circle of “activities to offer variety of experiences, and three main themes and thirteen sub themes came out from circle of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repare for futu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appropriately understood the purpose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were able to implement systematic instruction plans leading to successful outcomes. On the other hand, those who did not feel the need for systematic instruction plans focused on simple enjoyment and health improvement, resulting in less successful outco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as follows. Training should be given and case of successful application should be actively presented to help speci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 right objective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get knowledge of systematic instruction plans.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