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직업유지와 직무만족은 고용상태에 관한 질적평가 부분이며, 장애인의 정상화와 사회통합을 도모하기 위한 전제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개념의 변화와 더불어, 장애인 고용과 사회통합에 효과적인 직업재활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서 정당한 편의제공이 주어지는 환경요인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근로자의 현직지속의지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장애인의 개인요인과 장애관련요인, 환경요인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특히 환경요인은 물리적 환경 뿐 아니라 직무조정 및 업무수행에 관련된 배려와 지원, 그리고 장애인에 관한 차별적 환경에 관한 변수를 선정하여 그 영향을 검증해 보았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2008년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취업-임금근로자로 제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로지스틱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로는 연령, 임금, 직장내 배려와 지원의 요인 중에서 업무수행에 필요한 지원이 장애인의 현직지속 의지를 갖게 한다고 검증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성별, 학력, 결혼상태, 임금, 거주지역, 장애정도, 직무조정관련배려, 근무시간조정관련 배려, 편의시설 설치, 장애차별의 경험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직장내 배려와 지원(직무조정관련 배려, 근무시간조정관련배려, 업무수행에 필요한 지원, 편의시설 설치)을 위한 사업장의 환경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제도적 장치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적극적인 활용과 장애차별에 관한 대중인식의 전환을 모색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직업재활 사업을 담당하는 기관들이 직접서비스 비중을 줄이고, 간접서비스 비중이 커지는 형태로 서비스의 방향전환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job retention and job satisfaction is one of the quality evaluations on the job condition nd preconditions to facilitate normal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As the paradigm on the disability concept shifts, environmental resonable accommodations which results in successful employment and integration have emerged as significant factors.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job retention and satisfaction for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the individual, impairment,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nsist of workplace facility accommodation, supports in relation to task adjustment, performance and discriminatory circumstances. A 2008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as used, study objects were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were as follows. Age, pay level, the supports which relevant to task performance appeared to influence on the job retention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reported that sex, education level, pay level, residence region, impairment level, workplace facility accommodation, supports in relation to task adjustment, flexible duty hours and discriminatory circumstances influenced on the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ystematic policy to reform environment need to accommodate and support in workplace.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have to be used practically and we must improve on the public awareness to discriminate against disability. For these, the institutions and experts in charg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have to change focusing from direct services to indirect service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방 법
Ⅳ. 결 과
Ⅴ.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