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어증자의 직업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어휘 명명하기 프로그램 개발 연구
The Study on Word Naming Program for Vocational Communication Ability of Aphasic Patients
- 황상심(Hwang Sangshim) 박경순(Park Kyungsoon) 한지연(Han Jiyeon)
- 한국직업재활학회
- 직업재활연구
- 제20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1.01
- 99 - 124 (26 pages)
이 연구는 명명하기의 전문적인 중재를 통해 성인 실어증 장애인의 직업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탈 장애 단서와 부가적 단서를 이용한 보완된 탈막힘 기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어휘 명명하기는 성인 실어증자의 언어회복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문제로 의료적 처치 이후 직업재활 과정에서도 지속적인 중재가 요구된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탈 막힘 단서와 부가적 단서를 이용한 보완된 탈 막힘 기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을 성인 실어증자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대상자 모두에게서 명명하기 수행력의 향상과 유지 및 일반화의 효과가 있었으며, 명명하기 과제 외에 몇몇 언어 수행력에도 개선이 있었다. 대상자 1의 경우 알아듣기, 따라말하기, 이름대기, 읽기에서 향상된 언어 수행력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이름대기와 쓰기에서 가장 큰 향상을 나타내었다. 대상자 2는 알아듣기, 이름대기, 읽기, 쓰기에서 진전된 언어 수행력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이름대기와 읽기에서 진전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word naming program for vocational communication ability of aphasic patient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odified deblocking treatment program to improve word naming ability with two aphasic patients. Treatment items in this study were composed of 60concert nouns. The modified deblocking treatment program was different from the Weigl s deblocking concept in that the modified deblocking used additional cues (deblockers) as well as primary deblockers which was phonemic stimulations. The seven additional cues included writing, reading, an open-ended sentence, description, line drawing, gesture, and repetition. A 52 year-old male patient with Broca s aphasa and a 45-year-old female patient with conduction aphasia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treatment session lasted for 1 hour and the treatment took place 4 times a week. Each subject was intervened 20 sessions. The treatment took place in their homes which were the most comfortable environment for th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dified deblocking treatment program was effective on improvement of the picture naming ability. Second, the modified deblocking treatment program was effective on the generalization of the picture naming ability to untreated words. Third, the modified deblocking treatment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general communication ability which was shown in the K-WAB test results.
Ⅰ. 서론
Ⅱ. 실어증자의 직업적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보완된 탈막힘 기법 어휘명명하기 프로그램의 개발
Ⅲ. 직업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보완된 탈막힘 기법 어휘명명하기 프로그램의 적용
Ⅳ. 직업적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보완된 탈막힘 어휘명명하기 프로그램 적용의 결과 및 해석
Ⅵ.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