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병부과장식석검의 생산과 유통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Stone Daggers with Exaggerated Hilts

  • 308

본 글의 목적은 필자의 구고에서 시도하지 못하였던 병부과장식석검과 그 기본형 석검이 갖는 조형적상관관계를 새로운 근거를 바탕으로 좀 더 밀도있게 접근해 보고, 생산과 유통의 관점에서 생산지와 소비지에 대한 해상도를 좀 더 높이는 데 있다. 따라서 구고와의 중복은 되도록 피하고자 하였으며, 개선또는 개진된 내용에 한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석검 제작 이후 변형에 따른 변수가 가장 적을 것으로 여겨지는 병부를 대상으로 1:1 곡률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석검 제작 공정에 동일한 크기나 비율을 가진 U자 본틀이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3점의 병부과장식석검제작에 동일하거나 거의 차이가 없는 U자 본틀이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점과 같은 공방(또는 지역)에서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해석에 무게를 실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여수반도 출토 기본형 석검과 대조해 본 결과, 병부 곡률이 정확히 일치하는 결과를 얻음으로써두 형태의 석검이 조형적 특성뿐만 아니라 동일한 제작기술이 반영된 것임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여수반도의 지질과 영남 지역의 석재 산지에 대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석재의 확보와 유통 문제도 간접적으로 추론해 볼 수 있었다. 지역을 달리하는 복수 이상의 곳에서 최대 또는 최장의 병부를 갖는 석검의 병부 곡률이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게 확인되었다는 것은 지역 간 상호관계성을 지지해 주는 강력한 고고학적 증거로 볼 수 있다. 특히 동일한 곡률을 유지할 수 있었던 석검 제작기술의 완성도를 통해 U자 본틀과 같은 특정 제작도구와 전문장인의 해상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고고학적 자료의 부족과 분석적·기술적 한계로 인해 입증하지 못한 사항에 대해서는 향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argument, based on the archaeological consideration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stone daggers with exaggerated hilts, that the Yeosu Peninsula was the area featur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sites, and that the Gimhae and Busan were regions where consumption took place. This conclusion is based on the evidence which reveals that stone daggers with exaggerated hilts and ordinary-shaped stone daggers are closely related in terms of their fo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through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Firstly, the stone daggers with exaggerated hilts were precisely measured at a scale of 1:1, and the curvature rates of the dagger hilts were comparatively calculated. Second, the measured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U-shaped template pads used for making the daggers were identical in terms of size and curvature rates. This indicates that the three stone daggers with exaggerated hilts that were analyzed had been manufactured using an identical U-shaped template pad. The results also illustrate that they were produced in a single workshop or the same area. Third, the author then compared the curvature rates of the hilts of stone daggers with exaggerated hilts and ordinary shaped stone daggers. The curvature rates were found to be identical, indicating that both types had all ben manufactured using an identical U-shaped template pad. The majority of the ordinary-shaped stone daggers have been recovered from the Yeosu Peninsula, making it possible to infer that this area was where the production of the daggers had taken place. The described results validate the hypothesis that these types of daggers had been produced in the Yeosu Peninsula and distributed to other regions,including Gimhae and Busan. This reasoning is based on typology. But it was partly acknowledged that the Yeosu Peninsula could not necessarily be regarded as a production site based on research on the distribution of hornfels in the Goryeong area. Issues that could not be addressed due to the lack of archaeological data and various technical limitations remain as tasks for further studies.

Ⅰ. 머리말

Ⅱ. 석검의 속성과 출토 유적의 성격

Ⅲ. 생산과 유통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