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학교 전이과정에서의 학교폭력 발생률과 관련유형의 변화*
Changes in Occurrence Rate and in Transitions between Subclasses of Bully, Victim, and Bully/Victim during Transition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s
본 연구는 초-중학교 전이과정에서 일어나는 학교폭력 발생률의 변화와 학교폭력 관련유형(가해, 피해, 가/피해, 비관련)의 변화를 지속성과 전환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경남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표집을 대상으로 이들이 중학교 1학년 초가 될 때까지 종단적으로 추적한 패널집단(2,668명)이고 이들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경험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학생들의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 유무를 조합하여 가해, 피해, 가/피해, 비관련과 같이 네 관련유형으로 나누고 각 유형에서 초등학교 6학년 말과 중학교 1학년 초 사이에 일어난 변화를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학교 전이과정에서 일어난 학교폭력 발생률의 변화는 매우 작았으나 남학생의 경우에 한해서 약간 감소하였고 여학생의 경우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둘째, 초-중학교 전이과정에서 일어난 가해, 피해, 가/피해 유형의 지속 정도는 각 유형 간 전환비율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셋째, 학교폭력 관련유형 간 전환에서는 가해자, 피해자, 가/피해자가 중학교 진학 후에 학교폭력 비관련자로 바뀐 경우가 상대적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유형으로의 전환은 매우 적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중학교 전이과정에서의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과 해소 대책으로서 가해, 피해, 가/피해의 역할 지속과 변화 유형에 적합한 맞춤식 대책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empirically the changes in the occurrence rate of bully, victim, and bully/victim and also the stability and transition of bully, victim, and bully/victim during the elementary-middle school transition. It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panel group (2,668 students) of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1st grade follow-up of middle schools surveyed longitudinally.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of group (bully, victim, bully/victim, and uninvolved) made by a combination of their self-reported experience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The rate of bully and victimization during the elementary-middle school transition was decreased slightly for boys, not for girls with almost no changes. The stability of subclasse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has turned out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e ratios of transition to other subclasses excluding the transitions to the non-involved. The stability, however, was much lower than that in a few U. S. studies. The transitions between subclasse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have occurred largely from bullying and victimization to being uninvolved. Suggestions o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결과 및 해석
V. 논의
V.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