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175.jpg
KCI등재 학술저널

보조공학 만족도 요인이 장애인근로자의 작업수행능력, 직무만족도, 신규활동,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s of Assistive Technology Satisfaction on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New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of Employees with Disabilities

  • 76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분야에 적용된 보조공학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장애인근로자를 대상으로 보조공학 만족도 요인이 작업수행능력, 직무만족도, 신규활동, 그리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밝혀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단위의 조사를 위해 공공 취업서비스 기관으로부터 보조공학기기를 제공받은 장애인근로자 4.142명을 모집단으로 하여 장애유형별로 층화 및 체계적 추출법으로 조사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조사는 2007년 9월 17일부터 10월 11일에 걸쳐 일대일 면접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총 512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정된 연구모형의 경로관계를 분석한 결과, 장애인근로자의 보조공학에 대한 만족은 작업수행능력, 직무만족도, 삶의 질에 대해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업수행능력과 직무만족도는 보조공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 분석결과 장애유형, 직종, 보조공학기기 유형에 따라 구조가중치에 차이가 없는 반면, 장애정도에서는 중증장애인과 경증장애인 간에 구조가중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른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comes of assistive technology on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SEM was used to investigate how satisfaction for assistive technology influences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new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a population of 4,142 workers with disabilities were extracted from the list of workers that were provided with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by th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KEPAD). The survey sample was extracted using stratified and systematic sampling. Face to face interview was conducted from Sept. 17, 2008 from Oct. 11th 2008. Total of 512 interview surveys were analyzed. The findings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5.0 and AMOS 7.0 program.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multiple dimension structure showing direct/ indirect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using assistive technology by workers with disabilities. Second,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has a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istive technology and the quality of life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Third, there were structural weigh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of severely disabled and mildly disabled. Especially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were more effected by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new activity than people with mild disabilit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설정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