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안전 교육과 안전 생활이 연계된 수능 직업탐구영역 문항 출제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Evaluation Items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through Connection of Safety Education and Safety Life

  • 23

이 연구는 2015 교육과정 총론에서 안전생활 교과를 신설하는 등 최근 안전교육에 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산업 안전 내용만을 다루고 있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문항을 분석해 봄으로써 수능 문항에 안전 교육과 안전 생활 내용을 연계한 문항 출제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는 2013년~2014년에 실시된 본수능과 모의 평가 문항 중에서 안전과 관련된 문항을 추출하여 문제 상황과 평가 요소의 특징과 경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안전 교육과 안전 생활 측면에서 출제 문항에 반영되어야 할 문제 상황이나 평가 요소 등을 도출하고 예시로 안전 문항을 개발해 봄으로써 수능 안전 문항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 상황을 분석한 결과, 안전과 관련된 제시문의 문제 상황은 동일한 평가 요소를 측정하더라도 각각 특징을 가지고 다르게 구성되어 있었다. 가장 빈도가 높은 문제 상황은 ‘용접이나 연삭 작업 중에 발생된 불꽃이 정리되어 있지 않은 주변 물체에 튀어 발생된 사고 사례’ 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 내용 요소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내에서 제시된 산업 안전과 관련된 내용이 주요 평가 요소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출제된 요소로는 ‘문제 상황에 적절한 보호 용구를 선택하고 활용하는 능력’ 으로 방독면, 안전대, 안전모 등이 출제되어 총 8번이 출제되었다. 셋째, 안전 교육과 안전 생활 측면에서 수능 직업 탐구영역 문항에 개발되어야 할 문항을 살펴본 결과, 단일 문제 상황 문항으로는 PS4(일상 생활)의 문항 개발이 필요하며, 복합 문제 상황 문항으로는 PS1(직장 생활)+PS4(교통 안전), PS1(직장 생활)+PS4(학교 안전), PS1(직장 생활)+PS4(가정 안전) 등의 문항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안전 교육과 안전 생활이 연계된 문항을 개발한 결과, 교육과정 내의 산업 안전에 관한 내용 요소를 평가 요소로 활용하면서도 문제 상황은 생활 안전, 교통 안전, 가정 안전, 학교 안전 등 다양한 상황을 활용하여 출제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evaluation items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through connection of safety education and life safety. Safety education and safety life were emphasized the importance in new 2015 general curriculum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created ‘safety life’ subject in the details curriculum. Analysis object range were evaluation items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from 2013 to 2014 inclusiv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nalysis result of problematic situation, problematic situation of following statement in safety evaluation items were recast in same evaluation elements. Second, Analysis result of evaluation elements, evaluation elements of following statement in safety evaluation items were industry safety contents in national curriculum. Third, Analysis result of needed evaluation items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safety evaluation items to need were ‘daily life’, ‘work life + traffic safety’, ’work life + school safety’, ’work life + home safety’. Forth, making result of safety evaluation items, safety evaluation items were confirmed possibility using problematic situation of ’daily life’, ’work life + traffic safety’, ’work life + school safety’, ’work life + home safet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