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기술교육과 신입생들의 입학 동기 및 중 · 고등학교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

The Admission Motives of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and the Recognition of Secondary Schools Technology Lesson

  • 33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육과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기술교육과 입학 동기와 중·고등학교 시절의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3개 대학교 기술교육과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6개 영역(대학 입학 동기, 입학전 기술교육과에 대한 인식, 중등학교 시절의 기술교사와 기술수업환경,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30개 문항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얻어진 72명의 데이터를 SPSS(Ver. 2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육과를 알게 된 경로는 친척이 45.8%, 학교 교사와 선배, 친구가 48.6%였고, 대학 학과 선택시기는 주로 고 3 ~ 수시원서 접수 전이었다. 친척중에 교사가 있는 학생은 60% 정도이며, 교사 집안에서 교사를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고등학교별 출신은 일반계 고등학교 이과 72%, 일반계 고등학교 문과 21%. 전문계(특성화)고등학교 7%이다 둘째, 기술교육과를 선택한 동기로는 교사가능성이 가장 높기(M=4,22) 때문이다. 기술교육과가 주위에 잘 알려져 있다는 응답은 보통 이하의 수준(M=2.40)이다. 따라서 주위에 기술교육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대책이 요청된다. 셋째, 기술교사에 대한 호감도 인식은 평균(M)이 3.50 정도로 보통 보다 높은 편이며, 수업환경 평균(M)은 3.11로 보통 수준, 기술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에 본인은 보통 이상(M=3.33)이지만, 주위 학생들은 보통 이하(M=2.81)이라고 하였다. 기술교육과를 입학한 학생들 중 수업에 만족도가 높은 학생은 중학교 때 기술교사가 수업을 담당하고, 기술실에서 준비된 실습재료로 이론보다는 실습시간이 많았던 학생들이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대학 입학 전에는 기술교육과에 대해 거의 모르는 편이었고, 기술교육과를 알게 된 동기는 주로 교사와 친척이다. 많은 학생들은 친척중 교사가 많은 편이며, 입학 동기는 공부는 조금 어렵더라도 타 학과보다 교사가능성이 많아서였다. 기술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려면 기술교사들은 기술실을 활용하여 적절한 시간에 맞는 주제를 선정하고 이론 보다는 실습수업을 더 많이 하여 기술 수업을 책임질 수 있는 역량을 높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about recognition of secondary schools technology lesson and admission motives of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The 30 questionnaires of 6 parts (admission motive, recognition about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before admission, recognition of technology teachers, technology laboratory environment, technology classes, and satisfaction in secondary school days) were collected by 72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freshmen of 3 universities and analyzed by using SPSS(Ver. 2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45.8% of students heard about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by relatives and 48.6% heard from secondary school teachers, school senior s, and friends. They could choose their majors from senior of high schol to the period of early action. It is shown that about 60% of students had teacher in their family and their parents preferred students to become a teacher. The graduate students from natural sciences were 72%, liberal arts graduate students were 21%, and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 students were 7%. Second, the highest motive they chose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is possibility(M=4,22) of becoming a teacher. On the other hand, freshman showed that students do not have enough information before entering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M=2.40), thus more information about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are requested. Third, students have higher preference level(M=3.58) than normal about technology teachers. The recognition of laboratory environment is almost normal (M=3.11). Even though they have high level of interests and concerns(M=3.33), the other students who do not choose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evaluated low(M=2.81). Students with high satisfaction level had lots of practical lessons at laboratory than theoretical lesson when they were in middle school.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in order to increase interest and attention in technology class,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laboratory environment s importance are needed. In conclusion, students did not know about technology education before entering and were likely to know about this major mainly through teachers and relatives. Many students has relatives who are teachers. The admission motive of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was high possibility of becoming teachers even the education curriculum is difficult than other departm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technology lesson, technology classes should include a lot of practice lessons than theoretical lessons. Technology teachers should select an appropriate theme in each practice lessons at technology laboratory.

Ⅰ. 서론

II. 연구 절차 및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