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CIPP에 기반한 과학관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준거 개발

Development of Assessment Criteria for Scientific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by Science Museum Based on CIPP

  • 157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의 개선과 계속성 여부, 폐지 등의 관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유용한 가치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평가준거를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내용은 첫째, CIPP에 기반한 과학관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준거를 도출이다. 둘째, CIPP에 기반한 과학관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준거 대영역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이며, 셋째, 평가준거 하위영역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이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관 과학기술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준거의 대영역은 13개로 구성되었다. 상황평가의 대영역은 요구분석, 교육목표, 기관역량이고, 투입평가의 대영역은 프로그램 기획 및 설계, 교육내용, 강사역량이고, 과정평가의 대영역은 운영방법, 교수학습 활동, 지원환경이며, 산출평가의 대영역은 만족도, 성취도, 효과성, 지속가능성이다. 둘째, 평가준거 대영역의 하위영역은 55개로 구성되었다. 상황평가의 하위영역은 13개, 투입평가의 하위영역은 14개, 과정평가의 하위영역은 12개, 산출평가의 하위영역은 16개이다. 셋째, 일반적인 CIPP 평가모형은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활동이다. 이러한 점에서 실제적 맥락에서 적용하기 위한 각 영역에 부합하는 평가방법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끝으로 교육프로그램 질 관리 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프로그램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여러 가지 조치들이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육프로 그램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그 목적, 자원, 절차에 대한 정보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형 적용이 요구되는 바, 이 필요성에 따라 관리 지향적이면서 프로그램 개선에 중점을 두는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한 평가준거를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ssessment criteria that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value judgement that is required upon decision-making about whether to improve, continue, or abolish scientific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run by a science museum. The study was conducted by Delphi with experrt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appraisal criteria for scientific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by a science museum consist of 13 main zones. Secondly, the sub zones for each main zone of assessment criteria consist of 55 zones. The number of sub zones of context assessment is 13, that of input appraisal is 14, and the same of process assessment is 12, and that of product assessment is 16. Thirdly, a general CIPP assessment model is an activity for improving the program. In this sense, an aassessment method has been conceived and presented that accords with each zone for applying in the actual context. Lastly, various measures are being devised in order to improve programs and systems as interest in quality management of educational programs increases.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