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생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융합인재소양에 따른 문제정의단계의 인지활동 수준 차이

Disparities in the Cognitive Activity Levels in Problem Definition Stage in Relation to the STEAM Literacy in Problem Solving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39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융합인재소양에 따라 문제해결과정 중 문제정의단계의 인지 활동 수준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문항개발, 전문가의 협의를 수행하였다. 융합인재소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최유현 외(2013)의 융합인재소양 검사도구를 활용하였다. 검사를 통해 얻어진 점수를 바탕으로 상위집단, 중위집단,하위집단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문제해결과정에서 학생들의 인지활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교과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개발하였으며, 개발 문항에 대한 검토를 받았다. 문제정의단계의 인지활동 수준은 인지적 지도화를 통한 표상 능력에 관한 평가기준(Novak & Gowin, 1984; Pearson & Somekh, 2003)을 활용하였다. 검사의 대상은 청주시에 위치한 A초등학교 5, 6학년 256명이다. 자료는 연구자가 직접 배부 및 회수하였다. 인지활동에 대한 채점은 연구자 2명과 관련 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 1명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은 통계처리 패키지인 SPSS 22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생의 융합인재소양 수준은 4가지 요소 중 창의와 소통의 요소에 비해 융합과 배려의 요소의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정의 단계에서 초등학교 학생의 인지활동 수준은 집단별로 인지활동의 수준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정의 단계에서 융합인재소양과 인지활동 수준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if disparities in the cognitive activity in problem definition stage among problem solving process exist in relation to the STEAM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literature review, question development, and discussion with expert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STEAM Literacy, the STEAM Literacy test of Yu-hyun Choi, et al. (2013) was used as the research tool. Based on the score attained through the test,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higher group and median group, lower group. To verify the cognitive activity of students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the themes that can use a variety of subject knowledge in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were selected and developed through the advices from experts, and the developed questions were also verified. The cognitive activity level in the problem definition stage utilized the representational ability assessment standard through cognitive teaching (Novak & Gowin, 1984; Pearson & Somekh, 2003). The subjects for the test were 256 students in total, combining 137 male and 119 female fifth and sixth graders of A Elementary School in Cheongju. Data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directly by the researcher. Scoring of the cognitive activity was performed by two researchers and one expert with research experiences. The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by the statistical treatment package, SPSS 22. The result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talent knowledg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 in convergence and caring factors, compared to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factors among the four factors. Second, the cognitive activity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vealed to have big disparities in the cognitive activity levels for each group in the problem definition stage. Third, the STEAM Literacy and the cognitive activity level had a static correlation in the problem definition stage, thus it can be interpreted that each level in the integrated talent knowledge g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gnitive activity level.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