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국내 3년제 대학교의 컴퓨터 관련 학과를 대상으로 고등직업교육에서 적용 가능한 NCS 기반 컴퓨터과의 교육과정을 개발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PDI 모형에 근거하여 국내·외 관련 문헌 고찰, 교육과정개발위원회, 기술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 현황 및 산업체 요구 분석, NCS 분류체계, 교육과정개발위원회의 검토·합의를 거쳐 개발 학과의 인력양성유형을 설정하였고, 이것을 토대로 교육목표를 정의하였다. 둘째, 국내·외 직업분류표(KECO, KSIC, KSCO, O*-NET)에 근거하여 직업(군)과 직무 및 해당 직무를 정의하였고, 이것을 토대로 NCS 분류체계를 작성하였다. 셋째, 개발 학과의 직무 모형 설정(능력단위: 20개) 및 교육과정개발위원회를 대상으로 Likert 5점 척도에 근거하여 직무 모형을 검증한 결과, 20개의 능력단위에서 평균 4.0 이상의 능력단위를 9개 도출하였다. 넷째, 도출한 능력단위를 활용하여 6개의 NCS 기반 전공 교과목을 도출하였고, 이것을 토대로 해당 NCS 기반 교과목 명세서를 각각 작성하였다. 다섯째, NCS 기반 교과목 명세서를 활용하여 학년·학기별 해당 NCS 능력단위와 교과목 간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작성하였고, 또한 직업기초능력 2개의 교과목 개발·반영한 NCS 기반의 적용 총괄도를 작성하였다. 여섯째, 앞서 작성한 총괄도를 활용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 편제표를 작성하였고, 이것을 토대로 수준별 이수 구분에 따른 학년·학기별 NCS 기반의 로드맵을 작성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an applicable NCS-based curriculum i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for computer related courses in domestic 3-year colleges.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literatur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PDI model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rogram.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et the human resources type through industy condition and industrial demand analysis, NCS classivication system, and review and consideration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committee, and defined educational objectives based on the findings. Secondly, occupational group, job and job were defined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occupation classification table(KECO, KSIC, DSCO, O*-NET), and prepared a NCS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findings. Third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job model based on the job model of development department(competency unit: 20) and curriculum development committee using Likert 5-point scale, 9 competency units over an average of 4.0 or more were deducted from 20 competency units. Fourthly, 6 NCS-based major curriculum were derived using the competency units, and prepared the NCS-based subject statements. Fifthly, this study analyzed connectivity between the NCS competency unit by grade·semester and subject using NCS-based subject statement, and prepared applicable NCS-based general statement. Sixthly, NCS-based curriculum organization statement was prepared using the general statement, and filled out vertical·horizontal NCS-based road map by grade·semester according to the graded completion di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