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설계 능력 향상을 위한 시각화 중심 설계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Visualizing-Based Design Model for Improving the Ability to Design

  • 27

이 연구는 기술교육에서 설계 능력 함양을 위한 시각화 중심 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기술적 문제해결을 목적으로 설계 모형 개발을 위해 설계 및 시각화 관련 문헌 고찰 및 사례 분석을 통하여 설계 모형 개발 준거의 하위 요소로 설계과정, 시각화 과정, 단계별 시각도구를 도출하였다. 여기서 시각도구란 내재적 이미지를 외재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도구를 말하며, 시각화 과정이란 내재적 이미지와 외재적 표현이 교류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하위 요소를 바탕으로, 아이디어 창출과 구체화에 핵심을 두고 시각화의 강조를 통해 설계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설계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계 모형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전문가 집단의 설문지 조사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개발된 설계 모형을 완성하였다. 또한 시각화 중심설계 모형을 기반으로 수업 과제를 개발하고 수업에 투입하여 학생들의 설계 능력에 유의한 변화를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적용 대상의 수업 사전·사후 t 검증 및 학생들의 서술형 수업 평가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설계 능력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계 모형에 적용할 시각화 과정 및 시각도구의 준거를 통해, 설계 능력 함양을 위한 ‘시각화 중심 설계 모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기술 혁신과 설계’ 단원에서 개발된 설계모형을 적용한 수업 과제를 투입한 결과, 학습자의 설계 능력 평균 변화값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아이디어 창출과 교류 영역에서 크게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visualizing-based design model for the improving the ability to design in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The visualizing-based design model emphasizes visualizing by applying the visualizing process and placing visual tools in the design proces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three stages. In order to cultivate the ability to design in technology education we confirmed the necessity of design process and visualizing in the design. According to this, the existing design models and visualizing elements used mainly in technology education were analyzed. The derived visualizing-based design model were modified through the expert’s verification. The projects which visualizing-based design model applied to were develop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design model. After the developed projects were carried out. After analyzing the result of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and descriptive learning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isualizing-based design model was developed to emphasize visualizing to improve the ability to design. The design model was focused idea generation and embodies the core emphasis of the visualizing. Second, the developed visualizing-based design model was tested in the field. In the unit of ‘Technology Innovation and Design’ on high school. It was confirmed that it significantly effected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ability to design. It was also confirmed to greatly improve the ideation and communication stages in the design proces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