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초, 중, 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기반교육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로봇 교육 관련 연구 수행 경험이 있는 4명의 연구자가 공동으로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고, 통계 이론 및 메타분석 방법을 기 수강한 2명의 연구자가 결과를 해석하였다. 또한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국회도서관, Google Scholar 서비스를 이용하여 ‘로봇’, ‘로봇 교육’, ‘로봇기반교육’, ‘R-러닝’을 키워드로 하는 논문을 검색하였고, 이에 학술지 논문 15편, 학위논문 8편, 학술발표 논문 1편, 총 24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랜덤효과 모형으로 전체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538의 값이 도출되었고, 이는 비중복 백분위 지수(U3)로 변환할 경우 약 70 퍼센타일이며, 이는 로봇기반교육을 받은 실험집단의 점수가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약 20% 높다는 의미이다. 둘째,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로봇 연구 대상에 따른 교육 효과는 초등학생에 비해 중, 고등학생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공동체 영역에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프로그래밍만을 이용한 교육 방법이 하드웨어 조립을 혼합한 교육 방법보다 효과적이었다. 셋째, 연속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생 수가 늘어날수록 교육 효과는 감소하였고, 교육기간이 늘어날수록 교육 효과는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robot-based education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meta-analysis method. To do so, 4 researchers who have performed robot education-related education befor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together and 2 researchers who took statistics theory and meta-analysis classes interpreted the results. Also, they searched for papers that have ‘robot’, ‘robot education’, ‘robot-based education’, and ‘R-Learning’ as keywords using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National Assembly Library, Google Scholar service, and selected a total of 24 papers including 15 papers on academic journals, 8 thesis papers, and 1 paper presented in a symposium for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value of .538 was obtained after analyzing the entire effect size with a random effect model, which was at about 70 percentile when converted to non-overlapping percentage index (U3). This meant that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robot-based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robot-based education by about 20%.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difference by the categorical variables, the educational effect of robot study subjects was higher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an elementary students and showed the biggest effect in the community area. In addition, the education method that only used programm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ducation method that mixed hardware assembling. Thir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effects according to continuous variables demonstrat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 decreased as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d while it increased as education period increa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