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Kolb의 학습양식에 따른 중학생의 학습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의 관계

he relationship between Kolb s learning style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sty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 4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양식에 따라 중학생의 학습유형을 분류하고, 학습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과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A중학교의 학생 344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양식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검사하여 분석하였다. SPSS 12.0 통계프로그램으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olb의 학습양식에 따라 학습유형을 분류한 결과 수렴형(19.77%), 확산형(22.09%), 동화형(30.23%), 조절형(27.91%)의 분포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을 네 가지의 다른 학습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유형 간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 점수를 비교한 결과 각 유형 별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특히 동화형과 수렴형은 모든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학습유형 별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의 점수는 동화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확산형, 조절형, 수렴형의 순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순서는 각 하위요소에서 약간의 변동은 있으나 비슷한 경향성을 보였다. 동화형 학습자는 가장 높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가지고 있고 수렴형 학습자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구체적 경험을 통하여 학습할 때 수렴형, 확산형 학습자는 낮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보이고, 동화형 학습자는 높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보였다. 또한 활동적 실험을 통하여 학습할 때 수렴형, 확산형, 조절형 학습자는 높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보이고, 동화형 학습자는 낮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보였다. 추후 학습유형의 차이를 고려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연구되어야 하며, 학습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력 등 인지적 특성과의 관련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습유형 이외에 학습자 개인차를 결정짓는 다양한 요인과 기술적 문제해결의 관계를 구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style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s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their styles to solve technological problems. For this purpose, 344 students of A junior high school were examined and analyzed for their learning style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style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Kolb s learning style, there were Converging Type (19.77%), Diverging Type (22.09%), Assimilating Type (30.23%) and Accommodating Type (27.91%). The results show that learners participating in learning can b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of learn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learning problems. Especially, Assimilating Type and Converging Type were prov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Third, the score of the tendency toward solving the technological problems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was highest in the Assimilating Type, followed by the Diverging Type, the Accommodating Type and the Converging Type. Fourth, when learners learn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Converging and Diverging type learners showed low tendency to solve technological problems, and Assimilated Learners showed high tendency to solve technological problems.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sidering differences in learning styles,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bilit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