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특수학교 중・고등부의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태 및 특수교사들의 지원요구 조사
Survey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s over the country
- 장혜성(Chang Haesong)
- 한국직업재활학회
- 직업재활연구
- 제18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8.06
- 145 - 169 (25 pages)
본 연구는 한국 장애학생의 질적인 지역사회적응기술 교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 고등학교 특수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 실행, 평가 및 지원,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필요성 및 지원요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1)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시에 장애학생의 IEP 목표를 참조하거나, 현행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전년도 IEP를 참조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2) 지역사회중심교수 전ㆍ후에 평가를 위해서 생태학적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3) 지역사회중심교수를 나가기 전에 교실중재를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었다. 4)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진행할 때에 중요한 교수전략들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었으나, 시각적 촉진법 사용은 미비하였다. 5) 지역사회현장에서 돈 이용하기지도가 미비하였다. 교사 모두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 시에 지원인력과 재정적 지원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 및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In this research, 269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s over the country a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to collect basic data for community use skills instruction to students with disorder in korea. Plan,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necessity and support need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listed in questionnaires. Survey results are 1) Link to IEP objective of students with disorder are not enough when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planed. 2) ecological assessment are actively practiced for prior and post assessm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3) class-based instruction are actively practiced before community-based instruction. 4) instruction strategies that is important to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actively practiced, but visual prompt is not used enough. 5) Instruction for use of money in community are not enough. Every teacher gives positive response to needs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but their biggest inquiry are staffs and financial supports for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it surveyed specifically community-based instruction in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 needs, and then proposed basic data for model develop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