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178.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국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지역사회중심교수에 관한 실태 및 교사들의 지원요구 조사

Survey on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mmunity-based instruction of special classes in Korean inclusive middle and high schools

  • 7

본 연구는 한국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지역사회적응기술 교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전국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지역사회 중심교수 계획,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행, 지역사회중심교수 평가 및 지원,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필요성 및 지원요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1)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위한 계획서 작성 및 실시 전 평가에서 IEP와의 연계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2) 지역사회중심교수를 계획, 실시, 평가할 때에 필수적인 과정인 현행수준파악을 위한 평가, 실시 전 답사, 가정연계, 실시 후 평가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3)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진행할 때에 중요한 교수전략인 자기결정권, 다양한 일반화, 시각적 촉진, 사전지도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4) 비장애학생의 참여가 매우 저조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연령 및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비장애학생의 참여가 증가하였고, 중고등학교 교사 모두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수강한 교사와 고등학교 교사들이 중학교 교사보다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전국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 및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In this research, we will propose basic data for model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fter we research community-based instruction of special classes in inclusive middle and high schools all over Korea and teacher s support needs. We surveyed 207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over the country with questionnaire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plan, community-based instruction implementati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evaluation and support, community-based instruction necessity, and community-based instruction support needs. Several survey results can be presented. Link between community-based instruction plan and IEP are poorly performed. Process and instruction strategy required for pla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poorly done. Peers don t participate in a lot. Eve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agree on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teachers who joined lecture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need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more than those who didn t join the lecture. High school teachers need it more than middle school teache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