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178.jpg
KCI등재 학술저널

시각장애인 헬스키퍼 고용활성화 전략 수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trategy to Promote Employment of Blind Health-keepers

  • 27

본 연구는 헬스키퍼 직종을 중심으로 시각장애인의 고용활성화를 위한 정책적ㆍ전문적 개입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각장애인의 고용실태, 헬스키퍼직종에 대한 문헌연구와 함께 국내 최초로 대한안마사협회와 연계하여 시각장애인 안마사 자격증 소지자 306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헬스키퍼 인지여부, 종사의지, 헬스키퍼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지원요소 등 관련 당사자의 욕구를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59.4%(165명)는 ‘헬스키퍼’라는 직업영역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48.9%(149명)가 헬스키퍼 직종에 취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헬스키퍼 근무경험이 있거나 활동 중인 안마사는 2.3%(7명)에 그쳐 헬스키퍼의 인지도 및 취업의사에 비해 실제로 헬스키퍼에 종사할 수 있는 기회는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장애인 헬스키퍼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가장 핵심적인 지원요구사항은 활동보조인(71.1%)으로 파악되었다. 시각장애인이 비장애인에게 뒤지지 않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안마’가 사회적인 가치를 발휘하고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헬스키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의 참여를 끌어들일 수 있는 다양한 정책개발이 필요할 뿐 아니라 활동보조인 등 지원인프라의 안정적인 공급과 헬스키퍼 양성을 위한 다각도의 활성화전략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fundamental knowledge for implementing policies and technical strategies to promote employment of blind health-keepers. The employment status of people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literature review on the occupation of health-keepers is introduced. In addition, the first joint survey with the National Masseur Association was conducted involving 306 licensed masseurs. The survey assessed the conditions of health-keepers, their level of awareness, the will of participants, and aspiration of health-keepers in want of support ect. According to the survey, 59.4%(165) of licensed masseurs were aware of health-keepers as an occupation and 48.9%(149) were willing to work as a health-keeper. However, masseurs currently working as a health-keeper or had previous experience as a health-keeper were only 2.3%(7). This result shows that compared to the awareness and willingness of masseurs to work as health-keepers the opportunity is fairly limit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 most crucial service needed to promote the health-keeper profession is personal carer(71.1%) service. In order for blind masseurs to gain social respect and be reborn as professional health-keepers who protect the health of the people, numerous policies and supporting infrastructures such as personal carers must be developed to induce participation of the government and enterpris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방법

Ⅳ. 조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