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181.jpg
KCI등재 학술저널

직업능력평가사 역할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연구

Job Analysis Study of the Role of Vocational Evaluator

  • 93

본 연구는 직업재활현장에서의 직업능력평가사에 대한 업무형태를 직무분석을 통하여 제시하고 장기적으로 업무표준화를 통환 직업능력평가사의 바람직한 역할 몇 기능을 정립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무분석과 평가업무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하였고, 직무분석은 미국 고용국(U.S. Employment Service)에서 사용한 USES휘 절충적 기법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직무분석 결과, 재활장면에서의 작업능력평가사는 장애인의 직업재활과정에서 장애인파 보호자 몇 재활관련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평가도구를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운용함으로써 장애인의 의료적, 심리적, 사회적, 교육적 몇 직업적 영역에 관한 제반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종합하는 일련의 포괄적인 과정의 직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사람으로 직무의 정의가 합의되었다. 직무모형은 평가면접, 계획, 평가수행, 평가보고서작성, 평가결과 상담 등 5가지 책무를 토대로 각 책무별 2개에서 5개의 작업들을 구성하여 총 19개의 작업으로 구체화하였다. 직업 명세에서 최소교육정도는 4년, 교육훈련기관은 4년제 대학으로, 최소 교육훈련 기간은 4년, 그리고 견습기간은 1-2년으로 조사되었다. 직업적성은 언어소통능력과 정보수집 몇 분석력, 기억력과 공간지각 능력, 손기술과 신체운동능력, 시력과 청력, 대인관계능력과 인내심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작업능력평가사의 업무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직업능력평가사 양성에 필요한 훈련과정 및 평가기준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and function of vocational evaluato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stablishing a standardized evaluation work model applicable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settings. The professional research group was organized. and a modified USES job analysis technique. developed by U.S. Employment Service. was utilized.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As the result of the study. vocational evaluato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defined as follows: one who performs a series of professional work. including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coordination of clients medical. psychological. social. educational. and vocational information. by utilizing the various evaluation tools. which are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are-givers. and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The evaluation phase was proposed as follows: evaluation-based interview. evaluation plan. initiation of evaluation. submission of evaluation report. and final counseling. consisting of a total of 19 work specialities across the phase. At least 4 years of college education and 1 or 2 years of practices were proposed. along with re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areas. The outcome of the study could be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evaluation services. as well as for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ose work groups. The implications and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vocational evaluator were further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직무분석의 실제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