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183.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능적 제한 관점에서의 직업재활

Vocational Rehabilitation from a Functional Limitation Perspective

  • 16

우리가 흔히 장애라 하는 문제에 접근하는 것은 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기능 전반에 걸친 능력과 제한점이라는 관점에서 묘사될 수 있다. 생활 기능상의 제약들은 환경적 요인들과 함께 현재 한 개인의 삶의 결과(life outcomes)를 낳은 한 원인으로 간주 되어야 한다. 직업적인 생활의 가능 여부도 기능의 제약으로 인한 한 개인의 삶의 결과이기에 무엇보다 기능적 제한의 관점에서 직업재활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장애인 의무고용할당제를 시행하는 우리나라에서는 부담금 징수와 장려금 지급을 위한 행정의 효율성과 간편성으로 의학적 기준의 장애개념과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의학적 손상에 의한 중증과 경증의 구분만으로 직업재활에 접근하는 한계점으로 경증 위주의 고용과 개별적 사례관리가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직업재활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애등급에 대한 문제점을 짚어보고 그 대안으로 외국의 기능제한 관점에 대한 연구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기능제한을 평가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적절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장애의 정도보다 직업적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Disability is often described by its abilities and limitations faced daily in normal activities. These limitations along with environmental barriers effect life outcom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regards to It is important to take functional limitation perspectives regarding their vocational rehabilitation possibilities. However. due to the disability employment policy regarding collection of penality as well as provision of monetary award for hir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Korea is applying medical standard for disability definement. As consequences, medical standard is limited in sectionalizing severity of disabilities resulting in promoting employment statues for persons with less severe disabilities. Also it is less effective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to conduct case manag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disability definement(rank) system used by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Korea and to examine functional limitation perspective used by advanced nations in compensation of medical perspective. In the near future, in-depth research is needed on functional limitation because it serves as better basi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Ⅰ. 서론

Ⅱ. 직업재활에서 장애기준 활용에 대한 문제점

Ⅲ. 직업재활에서 기능적 제한의 고려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