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184.jpg
KCI등재 학술저널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Delivery System and Networking in Korea

  • 11

우리나라에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으로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시설, 특수학교,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등 전국적으로 약 590개소 이상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 중심의 서비스 부족, 비합리적 서비스 전달기관의 역할과 기능, 서비스전문화 부족 등의 문제로 통합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의 미확립으로 재활기관은 서비스이용자 모집경쟁을, 장애인 입장에서는 동일한 내용의 서비스가 중복적으로 제공되어 불편함을 겪고, 시간적, 경제적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다. 서비스 기관들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지 못할 때 조직과 자금의 중복과 낭비가 발생하고 서비스단절과 누락, 과잉 등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직업재활 서비스전달체계의 개선과 서비스 제공기관의 체계화, 관련기관 간의 상호 네트워크 구축은 제한된 국가사회적 자원을 적절히 장애인의 욕구에 맞게 사용하기 위한 일차적 과제라고 볼 수 있다. 바람직한 장애인의 직업재활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부처의 통합적 시스템을 통해 자원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고, 둘째, 재활전문공무원제를 도입하여 전문성과 책임성이 포함된 정책적 리더쉽을 발휘하여 재활기관 간 협력을 이끌어 내어야 하며, 셋째, 서비스 이용자 중심의 전달체계로의 전환과 중증장애인에게 우선하는 서비스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an emerging profession in Korea becaus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habilitation goals is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rehabilitation clients. It is a basic human right. Recently,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institutes have continually been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concern and paucity of research regarding service deliver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rvice quality should be guaranteed through the networking among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and professionals, inter-agency agreement, and well trained personnel. Without adequately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rained personnel for deliver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ordination among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agencies, the outcome of a variety of efforts in many levels of society is continuing to be disappointing. Networking among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persons with disabilities, employers, and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increases experience exchange, public awareness, facility resource allocation, cooperation, training opportunities, knowledge-based decision making and appropriate utilization of research. In order to operate organiza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ffectively, develop and evaluate professional programs, and activate linkage between organizations off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ducation opportunities for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should also be increased and supported. Furthermore, vocational rehabilitation measures should be constantly provided on highly individualized bases, while maintaining good networking among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organizations themselves. A common body of knowledge underlying the practi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hould provide standardization of preparation and practice, and protection of integrity of rehabilitation services. The client-centered rehabilitation practice emphasizes life long process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employment. Further analysis of changes and content in service delivery based on comprehensive, continuity, accountability and accessibility will greatly enhanc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Ⅰ. 서론

Ⅱ.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

Ⅲ. 서비스 전달체계상의 문제점

Ⅳ. 직업재활서비스 네트워크

Ⅴ. 직업재활 서비스 전달체계의 방향

Ⅵ.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