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연구자가 충남대학교에서 능력중심교육을 실천한 결과를 보고한 사례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강의에 대한 평가를 하여 다음 학기에 이 과목을 개선하고 이러한 사례를 소개하여 독자들도 관심을 가지고 실천해 보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는 지난 4년 동안 충남대학교에서 교양과목으로 11성공적 취업전략과 직장생활 이라는 과목을 지도해 왔다. 이 보고서는 2006년 1학기 수강생들이 이 과목을 마치고 난 후 설문조사에 반응한 것을 기술통계로 분석하여 해석한 것이다. 이 과목은 학급규모가 60명이지만 오리엔테이션을 듣고 과목에 부담을 느껴 약 1/3학생들은 수강을 포기하였다. 그 후에도 중도에 포기한 학생들이 많아 최종적으로 과목을 다 마치고 설문에 응답한 학생은 27명이었다. 따라서 성공적으로 마친 학습자들의 반응이므로 일반화하기에는 제약이 있다. 이 과목은 모두 13개의 모듈(능력)과제로 구성되어 있고, 매 과제마다 학습안내서가 교재로 개발되어 있으며 학습안내서는 수행목표, 세부목표, 관계지식, 자율평가지, 모범답안, 수행평가지로 구성되었다. 학습자는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교수는 평가자 역할만 충실하게 한다. 학습자들은 2인 1조가 학습자-평가자 모둠을 만들어 역할을 번갈아 가며 학습한 후 교수에게 수행평가지의 기준에 따라 엄정하게 평가를 받고 합격한 후에는 진도표에 기록한다. 성적은 성취한 능력(모듈)의 개수에 따라 매기는데 13개 모듈을 모두 마치면 A+, 12개는 Ao....로 매기었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1) 능력중심교육에 대해 1명을 제외한 응답자들은 이해하고 있었으며, 2) 학습부담은 11.1%가 과중하였다, 85.2%는 적당하였다로 응답하였다. 3) 학습자-평가자 모둠 운영에 대해서는 66.7%가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 22.6%는 도움은 되었지만 시간을 맞추기가 어려웠다라고 응답하였다. 4) 성취한 모듈의 개수를 성적으로 환산하는 것에 대해서는 92.6%가 매우 합리적이다라고 응답하였다. 5) 수행목표와 세부목표에 대해서는 96.3%가 잘 읽고 목표를 인지하였다라고 응답하였다. 6) 관계지식 학습에 대해서는 74.1%가 거의 암기할 정도로 학습하였다, 25.9%는 주의깊게 학습하였다라고 반응하였다. 7) 한 권의 과제장에 자필로 학습 결과를 쓰도록 한 것에 대해서는 88.9%가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라고 응답한 반면 11.1%는 분량이 많았다고 응답하였다. 8) 수행평가지에 대해서는 77.8%가 학업 성취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꼭 필요하였다라고 하였고, 22.2%는 개별 평가와 병행해서 전체가 모여 지필 평가를 한 번 할 필요가 있다라고 반응하였다. 위 연구결과를 두고 볼 때 어렵게만 여겨졌던 능력중심교육도 준비만 잘 하면 현재의 교과목중심 교육과정의 틀 속에서도 충분히 실천할 수 있으며, 산업체가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을 길러주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research was a case study to examine the adaptiblity of learner-oriented CBE program for the traditional education oriented students. For the research the successful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career related subject was taught by researcher at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uring spring semester in 2006. The registered students were 60, but finally only 27 students have finished the course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f 8 items. The dropout students data was not included to the study, but the successfully achievedstudents have only responded very positively on the CBE program. Most of respondents have understood the principle and recognized the effectiveness of CBE. More than one third students cancelled registration, because the program was looked very heavy to finish. They became used to be new concepts such as the learner-evaluator team, logbook writing, behavior objective, performance test, related knowledge and so on. In order to further implementation the CBE program should be introduced to whole faculty members institutionally and nation widely. The CBE program might become an alternative to the subjected matter education in future, In particular the CBE program is worth while for occupational educators to pay attention.
I. Instr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The research method
IV. Research Results and Interpretation
V. Summary and Conclu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