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중등학교 기술교육에서 생물기술 내용을 구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기술교육에서 생물기술 교육의 개념과 당위성을 살펴보고, 국내외 기술교육 이론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생물기술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추출된 교육 내용을 범주화하여 3가지 영역과 25개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제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연구자가 고안한 생물기술 교육 내용에 대한 검증과 추가되어야 할 내용 요소에 대한 의견 수렴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제2차 델파이 조사지는 제1차 조사 결과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재구성되었고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2가지 영역 내에 16개의 생물기술 교육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문헌 연구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악할 수 있다. 첫째, 생물기술의 교육 영역으로는 생물기술의 이해 , ^생물기술의 활용과 실제 구분된다. 둘째, ‘생물기술의 이해 의 내용 요소로는 생물기술의 개념, 생물기술의 역사, 생물기술의 영역, 생물기술 체제, 생물기술과 타 기술 및 학문과의 관계, 생물기술의 사회적 영향, 생물기술의 환경적 영향, 생물기술의 윤리, 생물기술과 관련된 진로탐색 등 9가지이다. 셋째, 생물기술의 활용과 실제 의 내용 요소로는 생물기술의 문제 해결 체험 활동, 식물 및 동물 분야에서의 활용과 실제, 식품 분야에서의 활용과 실제, 환경 분야에서의 활용과 실제, 의료 분야에서의 활용과 실제, 유전 공학에서의 활용과 실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등 7가지이다.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literature research and Delphi survey. This study investigated definition and rationale of Biotechnology in Technology education and analyzed biotechnology contents present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of secondary technology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study. Three large categories and twenty five sub-categories of Biotechnology contents for Technology Education were chosen by categorizing the major contents found in the literature study. The first round of Delphi study was to verify the chosen categories and collect comments from selected experts. At the second round of Delphi study, the categories were modified by the consented opinions of the experts and grouped into two large categories and sixteen sub-categories. With a synthesis of literature study and Delphi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wo categories of Biotechnology contents were Understanding of Biotechnology and Utilization and Practice of Biotechnology . Secondly, the Understanding of Biotechnology included nine sub-categories such as definition (concept) of Biotechnology, history of Biotechnology,scope of Biotechnology, Biotechnological system, relationship between Biotechnology and related disciplines, social impact of Biotechnology, environmental impact of Biotechnology, ethical issue in Biotechnology, and career exploration related to Biotechnology. Thirdly, the Utilization and Practice of Biotechnology included seven sub-categories such as problem solving hands-on activities associated with Biotechnology, utilizations and practices of Biotechnology in the field of animal and planting science, food science and technology, environmental engineering, medical technology, genetic engineering, and industrial field.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결과 및 해석
IV. 결론 및 제언